이 작품은 영·불간의 백년전쟁 중 깔레 시(市)에 대한 영국군의 인질요구에 절망적 상황의 시(市)를 구하고자 스스로 나선 여섯 명 원로의 비장한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대표적 스토리를 조각가 로댕이 소상으로 만든 것이다.
'노블레스 오블리주(noblesse oblige)'란 높은 사회적 신분에 상응하는 도덕적 의무를 뜻하는 말이다. 1, 2차 세계대전에서는 영국 고위층자제가 다니던 이튼칼리지출신 2,000여 명이 전사했고, 포클랜드전쟁에서는 영국여왕의 둘째 아들 앤드루가 전투헬기 조종사로 참전했다. 한국전쟁에서도 아이젠하워 미 대통령의 아들이 육군소령으로 참전했으며, 미 8군 밴플리트 사령관을 비롯한 미군장성의 아들 142명이 참전해 35명이 전사하거나 부상당했다고 한다. 자식의 병역면제를 아비의 능력쯤으로 아는 우리의 일부 고위층이 반영으로 떠오르는 대목이다.
우리에게도 국난의 시기에 명문가들의 노블레스 오블리주가 적지 않았다. 고교시절 통학열차가 안동역 도착을 알리는 기적을 울릴 즈음, 오른 쪽 산기슭에 넓게 펼쳐진 와가가 보인다. 문대통령이 취임사에서 언급한 임청각(臨淸閣)이다. 열차에서 내린 후 다시 그 쪽으로 걸어서 학교방향으로 낙동강을 건너는 마뜰다리 초입 부근에 있어서 지금도 모습이 선하다.
임청각 주인 석주 이상룡(李相龍, 1858~1932) 선생은 나라가 망하자 독립운동 자금으로 헌납할 현 시가(時價) 400억 원 가량의 전 재산을 처분한 후 상해 임시정부로 가서 국무령(대통령 격)으로서 신흥무관학교를 설립해 독립군을 양성하는 등 독립운동에 헌신하셨다. 일제는 그런 선생에 보복하고자 낙동강 변까지 펼쳐져 있던 아흔아홉 칸 임청각의 가운데로 중앙선 철길을 내서 지금은 50여 칸 정도만 남아 있다. 정부에서는 건물을 곧 원형 복원할 계획이라고 한다.
대통령은 석주선생과 데칼코마니 같은 이회영 선생에 관해서도 언급했다. 두 분은 당대 대표적 명문가의 후예로서 전 재산을 독립운동에 헌납한 점이 아주 비슷하다.
우당 이회영(李會榮, 1867~1932) 선생은 오성과 한음으로 유명한 백사 이항복의 후손으로, 이조판서 이유승의 6형제 중 넷째로 서울태생이다. 한일병탄 후인 1910년 12월, 명문가의 모든 기득권을 버리고 독립운동자금으로 헌납할 현 시가 600억 원가량의 전 재산을 처분해 6형제의 가족·노비 등 40여 명 전체가 만주로 망명했다. 떠나기 전 노비문서를 불태우고 노비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그들을 존대하며 가족처럼 함께했다. 신민회, 헤이그 특사, 신흥무관학교, 의열단 등 중국 항일운동의 거의 모든 분야에 관계하며 대한민국 건국에 이바지한 그야말로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모범을 보여주셨다.
가계에서 알려진 인물로는 대한민국 초대 부통령인 아우 이시영(李始榮), 손자로 이종찬 전 국정원장과 현 여당소속 이종걸 의원이 있다. 그중 이종찬은 신군부 쿠테타 이후 전두환 국보위를 시작으로 민정당 창당주역으로서 민정당, 민자당을 거치며 다년간 국회의원을 역임하는 등 김대중 정권시절까지 권력의 한 가운데 있었다. 신 군부 인물로는 비교적 온유한 성품이나 정치적 행보는 전두환의 국보위로부터 시류에 따라 변신함으로써 명문가의 명예에 옥에 티를 남겼다 할 수 있다.
문대통령은 지난 현충일 추념사에서 위의 두 분과 함께 채명신(蔡命新, 1926~2013) 전 주월사령관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장군은 한국전쟁과 월남전 등에서 무수한 전공을 세운 대한민국의 대표적 군인이지만 국립서울현충원의 8평 장군묘역을 마다하고 한 평 사병묘역에 묻혔다고 한다. 내가 장군이 된 것은 전쟁터에서 조국을 위해 목숨을 버린 사병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전우들이 묻힌 사병묘역에 묻어 달라고 한 유언 때문이라고 한다.
그분의 참 군인정신에 머리 숙이지 않을 사람이 있겠는가? 그 밖에도 국민보건을 위해 유한양행을 설립하여 정직한 기업경영의 모범을 보이고, 전 재산을 사회에 기증하라고 유언을 남긴 기업인이자 교육자, 독립운동가인 유일한(柳一韓, 1895~1971) 박사 등 아름다운 삶을 사신 분들은 적지 않다.
우리나라에는 독립운동을 하면 3대가 망한다는 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목숨 바쳐 일제와 싸운 수많은 독립운동가분들이 계셨다. 이분들처럼 영웅적인 삶을 살다 가신 이들을 생각하면 과연 이 시대에도 그런 헌신적인 인물들이 존재할까 하는 의문을 갖게 된다. 필자 스스로 아무 것도 하지 못한 부끄러움과 함께, 그래도 이 혼란의 시기에 나라가 허물어지지 않은 것은 곳곳에서 묵묵히 자기 몫을 충실히 하는 양심적인 국민들이 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장준문/ 조각가, 수필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