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고려인의 밥상과 바지락탕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고려인의 밥상과 바지락탕

  • 승인 2019-11-27 10:12
  • 수정 2019-11-27 14:53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밥
차는 커녕 운전면허증도 없는 원시인 체질이어서 식구들이나 친구들한테 면박을 당하기 일쑤다. 차가 있으면 얼마나 편한데 궁시렁 궁시렁…. 다행인지 여태까지 회사 근처에서 산다는 이유로 굳이 차가 있어야 한다는 절실함이 없기도 했다. 그래서 여행갈 땐 대중교통을 이용하는데 고속버스를 타면 좋은 게 하나 있다. 꿀잠이다. 새벽에 일어나기 때문에 차에 타면 그때부턴 인사불성이다. 침대는 과학이라는 광고 카피가 있지만 고속버스 의자도 일류 생체공학자가 설계했나 싶을 정도로 탈 때마다 경탄한다. 안락한 의자에 몸을 맡기고 좌우로 머리를 흔들어가며(이젠 침은 안 흘린다) 반 기절 상태로 자다 깨어나 보니 어느새 태안버스터미널이다.

국립태안해양유물전시관이 개관했다 길래 한달음에 달려갔다. 햇살을 받아 반짝이는 수채화 같은 바다는 잔잔했다. 신진도에 있는 전시관도 평일이어서인지 조용했다. 난파선에서 건져 올린 유물이라! 생각만 해도 가슴 설레고 짜릿하다. 그야말로 보물선 아닌가. 전시관엔 바다 속에서 잠자다 올라온 유물이 가득했다. 접시를 비롯한 온갖 종류의 고려 청자, 철제 솥, 시루, 옹기 등과 곡물들. 천년 가까운 시간을 거슬러 옛 사람과 나의 만남이 시작됐다. 눈 앞에 있는 그것들을 손으로 만져보면 고려인의 숨결을 느낄 수 있을 것만 같았다. 오래 전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찬찬히 보고 있자니 상상이 꼬리를 문다. 얼마 전 부여박물관에서 백제 사람의 머리카락을 보고 도대체 시공간이란 뭘까 상념에 잠겼었다. 어릴 적 틈만 나면 집 앞 야산에 올랐다. 화석을 찾아내고야 말겠다며 흙을 파기도 하고, 컴컴한 굴 속을 기웃거리며 돌도끼 같은 걸 찾아 헤맸다. 하얗게 바랜 새의 뼈를 주워 들여다보면서 고고학자인 양 즐거운 상상에 빠지기도 했다.

이번에 놀라운 사실도 알았다. 안산 대부도에서 발굴한 고려시대의 곶감 얘기다. 불그스름한 곶감 색깔은 물론이고 달콤한 향까지 고스란히 남아 있었다고 한다. 바닷속 개흙이 유물을 덮어 오랫동안 본래의 상태를 보존한 셈이다. 전시관에 복원된 마도 1호선은 곡물 운반선으로 벼, 조, 피, 메밀, 콩 등도 있고 새우젓, 게젓을 담은 도기도 발견됐다. 다른 난파선에도 참기름, 꿀, 개고기포, 전복, 홍합 등도 실려 있었다고 한다. 이를 증명하는 것이 목간이다. 목간은 일테면 운송장이다. 나무막대기에 물품 목록과 받는 이의 주소를 적어 화물에 걸어놓는 형식이다. 그러고 보면 사람 사는 방식은 예나 지금이나 크게 달라진 것 같지는 않다. 먹는 것도 그렇고, 관습은 참으로 고집스럽다.

고려의 뱃사람들은 시루에 밥을 쪄먹고 젓갈이나 육류, 생선 등을 먹었다. 나는 뭘 먹을까. 신진도에서 다리를 건너 안흥항으로 갔다. 윤기 자르르 흐르는 따뜻한 쌀밥이 먹고 싶었다. 동네 할머니가 맛있는 밥집이 있다며 알려줬다. 야트막한 오르막길 가에 노부부가 하는 자그마한 식당은 바지락탕과 바지락칼국수만 팔았다. 바지락탕의 재료는 바지락과 부추, 청양고추가 전부였다. 국물을 한 술, 한 술 떠먹을 때마다 "아우, 시원해"가 절로 나왔다. 국물이 담백하고 칼큼했다. 바지락은 또 어찌나 졸깃한지, 말간 콧물을 훌쩍이며 정신없이 까먹었다. 바지락탕은 탁월한 선택이었다. 주인 할아버지에게 앞바다에서 잡은 바지락이냐고 물었다. "말하믄 뭐뎌. 아까부터 여기 돌아댕기는 거 봤는디 아자씬 낚시질 나갔남?" 내가 유물전시관 보러 왔다니까 할아버지는 옆 테이블에서 역시 바지락탕을 먹고 있는 남자를 가리키며 말했다. "저 양반도 서울서 유물전시 보러 왔댜." 서울 남자는 할아버지에게 바지락탕 맛있게 먹었다고 몇 번이나 인사하며 나갔다. 아, 내가 먹은 바지락 껍데기도 먼 훗날 화석으로 발견될 수 있을까.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