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직 배지 등에 비해 낮은 인지도와 조직력을 만회하려면 지역구에서 조기발동을 걸어도 모자랄 판에 불투명한 '총선링'에 따른 걱정이 태산이다.
정치권에 따르면 선거법 논의 핵심은 의원정수와 지역구 및 비례대표 의석수 조정 여부다. 일단 패스트트랙에 오른 안(案)은 '지역구 225+비례대표 75석'을 골자로 한 연동형 비례대표제다. 하지만 최근 지역구가 사라지는 의원들의 반발을 우려해 '지역구 240석, 비례 60석'과 '지역구 250석, 비례 50석' 수정안(案)도 논의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정의당 일각에선 의원정수 330석 증원, 자유한국당에선 270명으로 의원정수를 줄이고 모두 지역구로 뽑자고 한다.
선거구 획정은 선거법 통과 이후 논의가 본격화되는 데 역대 사례를 감안할 때 내년 2월 중하순께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선거법이 어떻게 갈래를 타느냐에 따라 금강벨트 선거구도 요동칠 전망이다. 21일 기준 충청권은 대전 7, 세종 1, 충남 11, 충북 8 등 모두 27석이다. 지금까지 정치권 논의를 종합해 보면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세종시가 2석으로 늘어나는 대신 대전과 충남 충북은 일부 지역구의 통폐합이 유력해 보인다.
한국당 주호영 의원(대구 수성을)은 패스트트랙에 오른 선거법(심상정 안)이 통과되면 충청권은 4석 감소를 예상했다. 대전의 경우 유성구(갑·을)와 대덕구가 합쳐진 뒤 2곳으로 나뉜다. 충남은 홍성·예산 선거구가 없어지고 공주·부여·청양·예산이 한 곳으로 기존 보령·서천에 홍성이 합쳐져 새 선거구가 된다. 아산(갑·을)과 당진 3개 선거구는 2곳으로 재편된다.
물론 다른 전망도 있다. 한국당 이진복 의원(부산동래)이 선관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역구로만 270명을 뽑는 한국당 안(案)에 따르면 충청권에선 대전 서구갑, 세종시, 충남 천안을이 인구 상한선을 웃돌아 분구된다. '지역구 240석, 비례60석' 안과 '지역구 250석, 비례50석' 안에선 각각 세종이 분구 대상이다.
이처럼 '총선 링'에 대한 예측불허의 경우의 수로 정치신인들은 울상이다. 표밭을 어디에서부터 어디까지 닦아야 하는지 계산기 안 서기 때문이다. 다음달 17일부터 예비후보등록이 시작돼 명함 배부, 어깨띠, 선거사무소 설치, 전화기 이용 등을 통해 지역구민들과 접촉이 가능한데 이같은 활동의 효율성을 장담하기 힘들다. 내년 선거구 획정에 따라 '총선링' 변경 가능성을 배제키 어렵기 때문이다. 자신의 지역구가 아닌 곳에서 안 써도 될 힘을 뺄 수 있고 정작 공을 들여야 할 표밭을 등한시하는 것은 아닌지 걱정부터 앞선다는 것이 이들의 전언이다.
지역 정가 관계자는 "현역의원이나 과거 공직 선거 경험이 있으면 인지도 높아 선거구 획정이 늦어지는 데 따른 부담이 덜한 편"이라며 "정치신인들은 선거구 획정까지 마냥 기다릴 수 없기 때문에 일단 뛰고 보자는 마음으로 지역민들과 접촉하고 있지만, 선택과 집중에 한계가 있어 전략마련에 어려움이 있다"고 촌평했다.
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