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유진 편집부 기자 |
막상 대학교에 입학하니 막연했던 걱정은 걷잡을 수 없는 불행으로 번졌다. 갑자기 주어진 자유에 무얼해야 할지 몰랐고, 예상외로 맞지 않았던 전공, 낮아진 학점으로 미래에 대한 갈피가 잡히지 않았다. 스쳐 지나간 인연들은 셀 수 없이 많았지만, 정작 마음을 나눌 만한 친구를 사귀기는 쉽지 않았다. 사랑할 사람을 만나는 일은 더더욱 아득했다.
어떻게 살아야 할까. 사색에 사색을 거듭해보니 인생은 고통의 바다였다. 정규직으로 번듯한 직장에 취업할 확률, 서울 한켠 어딘가 내 집을 마련할 확률,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 우여곡절 끝에 결혼에 골인할 확률. 그래서 행복해질 확률은 0.00001%도 되지 않았다. 깨달음을 얻고 대학 시절 상당한 시간을 우울감에 빠져 허우적거렸다.
돈 벌면 나아지겠지, 친구들과 삼삼오오 이야기 했던 게 엊그제 같은데 역시나 취업해도 별다르게 나아진 사람은 없어 보인다. 행복은 영원히 오지 않을까. 행복해지는 무언가를 얻더라도 금새 일상이 되어버린다. 다행스럽게도 오랜 시간 고민한 끝에 불행을 막는 법은 어느 정도 체득하게 됐다. '~하면' 나아질 것이라는 가정법에 힘을 적당히 주고 매순간을 즐기며 사는 삶이다. 물론, 요즘 같은 시대 말처럼 쉽진 않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 에피쿠로스는 도시국가의 몰락과 혼돈을 겪고 '아타락시아'를 논했는데 맥락이 같다. 에피쿠로스는 인간의 행복이 금욕적인 쾌락에서 온다고 한다. 행복한 삶이란 즐거움의 총합이 큰 삶이다. 기대가 높으면 불행해지기 쉽다. 그는 물과 빵만 있으면 신도 부럽지 않다고 했다. 예를 들어, 햄버거가 맛있다고 매일 먹으면 물리니까 어쩌다 한번 먹음으로써 즐거움을 유지해야 한다.
결국 에피쿠로스가 추구하는 쾌락은 최근 유행어인 '소확행'과 비슷하다. 어쨌든 이 방법이 내게는 꽤나 유용하다. 거대한 목표에 행복을 몰빵하지 않고 충분히 이룰 수 있는 것 소소한 일에 분배하는 것. 요즘 나는 흘러 지나가버리는 행복감을 잊지 않기 위해 다이어리를 쓴다. 매일 좋아하는 것이나 조금이라도 즐거웠던 일을 기록한다. 1. 반려견 겨울이 발바닥 냄새 맡기 2. 일리 프란시스 Y3.2 화이트 3. 카페에서 독서하기 4. 진짬뽕 먹고 오뜨 치즈맛 2개 먹기 등등. 오늘 퇴근길도 편의점을 들려 침대에 뒹굴거리면서 까먹을 과자나 사와야겠다. 그래, 이 맛에 사는 거지. 전유진 편집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