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영미 편집부 차장 |
날짜가 정확히 기억이 나지 않아 찾아보니 그해 수능 날은 1996년 11월 13일이었다. 새벽부터 엄마는 보온도시락에 따뜻한 국물을 넣은 도시락을 싸줬고, 아빠는 시험장까지 차로 태워다 주셨다. 고사장 앞에는 지금처럼 후배들이 응원을 나와 있었던 것도 같다. 교실 맨 앞자리에 앉아 시험을 쳤다. 2교시 수리1(수학)까지 마치고는 학교 친구들과 도시락을 먹으며 "아~ 수학 다 찍었네", "망쳤어", "왜 이렇게 어렵냐" 등 그날의 시험 이야기를 나누기도 했다. 특별히 긴장 하거나 그랬던 것 같지는 않다. 하루 종일 이어진 시험이 끝나고 평소처럼 하교하듯 고사장을 빠져나왔다. 그때만 해도 교문 앞에서 시험 끝난 아들딸들을 기다리는 모습은 거의 볼 수 없었다. 어둑해진 길을 따라 정류장으로 걸어가며 느낀 후련함과 아쉬움은 지금도 생각이 난다. 꼬박 3년 동안 수능을 위해 달려왔으니….
휴대폰, 삐삐도 없던 때라 5시쯤 시험이 끝날 시간에 맞춰 아빠는 버스 정류장에서 나를 기다렸다가 태워 함께 집으로 갔다. 가는 동안 시험을 잘 봤는지, 망쳤는지 아무것도 묻지 않았다. 항상 7시는 넘어야 집에 돌아오는 아빠였는데, 수능 날이라고 나를 데리러 오기 위해 평소보다 빨리 일을 끝내고 오셨던 거다. 지금 돌이켜보면 참 무뚝뚝하고 말수도 거의 없는 분이지만, 첫째 딸의 인생이 걸린 수능시험이 내심 신경이 쓰였던 것은 아닐까.
내가 치렀던 1996년 수능은 400점 만점제가 처음 도입됐고, 수능 역사상 '최악의 난이도'라는 평가를 받은 시험으로 유명하다. 수능 당일 EBS에서 해주는 문제풀이 방송을 보며 가채점 중이던 나는 수학 중간에 덮어버리고 울며 방으로 뛰어들어갔다. 엄마는 그런 내게 말도 붙이지 못했다. 이때 입시는 대학별 본고사가 모두 폐지되면서 수능만으로 선발하는 특차 모집과 수능, 논술, 고교내신을 반영한 정시모집만 있었다. 역대 최악의 '불수능'이었던 만큼 서울 유명학원 분석에 따르면 280~300점대면 서울대 지원이 가능했을 정도다.
당시엔 수능 하나로 모든 게 끝난 것만 같았다. 그런데 수리2와 영어에서 나름 선방한 덕분에 3년 농사인 수능을 완전히 망치지는 않았다. 하지만 국·영·수 위주로만 평가하는 수능이 한 사람의 대학 진로를 결정하는 잣대가 되는 입시 현실을 도무지 이해할 수 없었던 것은 사실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내가 어떤 직업을 갖고 싶은지, 자신의 흥미나 개성, 재능은 무엇인지를 아는 것이다. 두 아이의 엄마가 된 지금, 무조건 공부만 잘하란 말보다 아이가 더 잘하고 즐거워하는 것에 관심을 가지려고 노력한다. 올 수능을 마친 고3들도 수능 결과에 울고 웃기보다 나의 행복, 진정 자기가 하고 싶은 것을 찾는데 에너지를 쏟았으면 좋겠다. 원영미 편집부 차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