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백일장 심사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백일장 심사

양동길 / 시인, 수필가

  • 승인 2019-11-08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곱게 물든 가을이 산을 내려와 뜨락을 차고앉은 10월 26일, 백일장이 열렸다. '우암백일장'이다. 고색창연한 우암사적공원이 색동옷으로 단장하고 함께 글을 쓴다. 공원은 공원대로 할 이야기가 얼마나 많으랴. 짚풀공예, 전통다례 시연, 미니어처목공체험, 솟대만들기, 선비의상체험 등 각종 체험과 볼거리는 덤이다.

백일장(白日場) 유래는 분명하지 않다. 심사위원(試官)이 참석한 가운데 시제를 내걸고 즉석에서 시문을 지어 기량을 겨루고 시상하였다 전한다. 과거시험형식이나 벼슬과는 관계가 없다. 참가자 자신이 재예(才藝)를 시험하고 자랑하며 다른 사람과 견주어 보는 기회로 삼았다. 백일이란 밝은 낮을 의미한다. 밤에 모여 친목을 도모하고 시재를 견주어 보는 망월장(望月場)과 더불어 유생들 사이에 성행하였다. 문교진흥책이요, 학업 장려 행사였다.

오늘날에도 각종 문화행사에 빠짐없이 등장한다. 그만큼 소중하고, 가치 있는 일이기 때문이리라. 명칭이 다르거나, 방식이 다를 뿐이다. 현장에서 결과를 발표하고, 시상하는 경우도 많이 본다. 우암백일장은 차후에 심사하고, 입상자 대상으로 특정한 날에 시상식을 한다. 오늘이 심사 날이다.

수십 차례 심사했지만 쉽지 않다. 한 자 한 자에 담긴 글 쓴 사람의 노고를 생각하자면 미루어 고려해야 할 사항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생각이 많다 보니 항상 다른 심사위원보다 심사속도가 늦다. 척 보면 안다거나, 몇 줄 보면 안다는 사람과 견줄 바가 못 된다.



글제가 어머니, 효도, 우정이다. 어떤 말도 다르지 않겠지만, 일상적이면서 많은 것을 사유케 하는 말이다. 누구나 많은 애증 관계가 있을 법한 평이 한 단어이다. 그러나 주어진 글제로 글을 쓴다는 것이 생각같이 쉽지 않다. 생각하지 못했던 주제에 황당해하는 아이도 눈에 띈다. 자간에 보인다. 엉뚱한 주제로 글을 쓰거나, 여러 가지 뭉뚱그려 쓰기도 한다. 필자 역시 갑작스러운 주제로 좋은 글 쓸 자신이 없다. 재간도 없다.

억지로 끌려 오거나, 덩달아 따라온 아이도 있는 탓일까? 이름만 적어 내거나, 원고지 한두 장에 몇 자 끄적거려 낸 아이의 글도 있다. 산만한 분위기에 정리된 생각이 나오기 쉽지 않다. 정신력이 강한 탓일까? 현장에서 보면, 주위와 무관하게 진중한 아이도 있다. 아예 사람 눈에 잘 띄지 않는 곳으로 찾아들어, 똬리 틀고 사색에 잠긴 아이도 있다. 면벽 참선하는 모습도 보인다. 이 또한 어떠한 환경에서도 자기 일을 할 수 있다는 소중한 체험 아니겠는가?

기본이랄까? 글을 흘겨 쓰거나 알아보기 힘들게 쓰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 필체가 나쁜 걸 탓하는 것이 아니다. 필체가 다소 좋지 않더라도 진중한 자세로 또박또박 쓰는 것이 첫 번째 글쓰기 방법 아닐까? 백일장뿐만 아니라, 어떠한 경우도 다르지 않다.

학교에서 선발된 아이는 예상 주제로 글쓰기 연습을 하고 왔을 것이다. 또 현장에 함께하신 교사는 글제와 관련된 지도의 말씀을 해주었을 것이다. 내용이나 글 전개 방식 모두 비슷한 경우가 많다. 지도교사 언질로 사고의 문이 열린 탓이리라. 다급한 탓이었겠으나 다양한 사고의 틀(paradigm), 사고방식 지도로 개인의 감성을 끌어내는 촉매 역할만 하면 어떨까 하는 아쉬움이 있다. 획일적인 글이 되는 것은 좋은 현상이라 할 수 없다.

간접체험을 포함한 체험적 스토리텔링 방식의 글이 많아졌다. 감동을 주기에 용이한 방식 중 하나이니 호불호를 따질 필요는 없다. 다만, 진솔하여야 한다. 공상을 이야기로 풀어내면 감정 전달이나 감동 주기가 쉽지 않다.

작품성이랄까? 개성 있는 글도 더러 있다. 간혹 보이는 신선한 시각과 감각은 배울 점이다.

널리 알려진 좋은 글 쓰는 방법, 작문의 삼다(三多)는 다독(多讀), 다작(多作), 다상량(多想量)이다. 우선 다른 사람의 글을 많이 보고, 많이 써보아야 한다. 이해를 바탕으로 한 논리적이고 창의적인 생각이 함께해야 한다. 낱말 선택, 문장구성, 글맛 내는 법, 목적에 따른 문체 선택 등은 차후 문제이다.

기성 작가도 좋은 글쓰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항상 연구하고 새로운 방법을 시도한다. 좋은 글 기준설정이 각기 다르다. 좋은 글 선정 방식 또한 지극히 주관적이요, 천차만별이다. 입상자가 못된 참가자도 아쉬워하지 말자. 누구나 겪는 과정이다. 백일장에 참가하여 고민하고, 그 생각을 글로 옮겨 써 본 자체가 훌륭한 역사이다. 글쓰기는 정신세계를 넓히고 높이는 데에 필요한 질 좋은 자양분임이 틀림없다.

양동길 / 시인, 수필가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세종시 50대 공직자 잇따라 실신...연말 과로 추정
  2. [취임 100일 인터뷰] 황창선 대전경찰청장 "대전도 경무관급 서장 필요…신종범죄 강력 대응할 것"
  3. [사설] 아산만 순환철도, ‘베이밸리 메가시티’ 청신호 켜졌다
  4. [사설] 충남대 '글로컬대 도전 전략' 치밀해야
  5. 대전중부서, 자율방범연합대 범죄예방 한마음 전진대회 개최
  1. 현대프리미엄아울렛 대전점, 중부권 최대 규모 크리스마스 연출
  2. 경무관급 경찰서 없는 대전…치안 수요 증가 유성에 지정 필요
  3. 이장우 "임계점 오면 충청기반 정당 창당"
  4. 연명치료 중에도 성장한 '우리 환이'… 영정그림엔 미소
  5. 김정겸 충남대 총장 "구성원 협의통해 글로컬 방향 제시… 통합은 긴 호흡으로 준비"

헤드라인 뉴스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상권 분석 18. 대전 중구 선화동 버거집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상권 분석 18. 대전 중구 선화동 버거집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

행정통합, 넘어야 할 과제 산적…주민 동의와 정부 지원 이끌어내야
행정통합, 넘어야 할 과제 산적…주민 동의와 정부 지원 이끌어내야

대전과 충남이 21일 행정통합을 위한 첫발은 내딛었지만, 앞으로 넘어야 할 산도 많다는 지적이다. 대전과 충남보다 앞서 행정통합을 위해 움직임을 보인 대구와 경북이 경우 일부 지역에서 반대 목소리가 나오면서 지역 갈등으로 번지고 있는 모양새다. 대전과 충남이 행정통합을 위한 충분한 숙의 기간이 필요해 보이는 대목이다. 대전시와 충남도는 21일 옛 충남도청사에서 대전시와 충남도를 통합한 '통합 지방자치단체'출범 추진을 위한 공동 선언문을 발표했다. 대전시와 충남도는 1989년 대전직할시 승격 이후 35년 동안 분리됐지만, 이번 행정통..

[尹정부 반환점 리포트] ⑪ 충북 현안 핵심사업 미온적
[尹정부 반환점 리포트] ⑪ 충북 현안 핵심사업 미온적

충북은 청주권을 비롯해 각 지역별로 주민 숙원사업이 널려있다. 모두 시·군 예산으로 해결하기에 어려운 현안들이어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한 사업들이다. 이런 가운데 국토균형발전에 대한 기대가 크다. 윤 정부의 임기 반환점을 돈 상황에서 충북에 어떤 변화가 있을 지도 관심사다. 윤석열 정부의 지난해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발표한 충북지역 공약은 7대 공약 15대 정책과제 57개 세부과제다. 구체적으로 청주도심 통과 충청권 광역철도 건설,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구축, 방사광 가속기 산업 클러스터 구축 등 방사광 가속기 산업 클러스터 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

  • 3·8민주의거 기념관 개관…민주주의 역사 잇는 배움터로 운영 3·8민주의거 기념관 개관…민주주의 역사 잇는 배움터로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