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일장(白日場) 유래는 분명하지 않다. 심사위원(試官)이 참석한 가운데 시제를 내걸고 즉석에서 시문을 지어 기량을 겨루고 시상하였다 전한다. 과거시험형식이나 벼슬과는 관계가 없다. 참가자 자신이 재예(才藝)를 시험하고 자랑하며 다른 사람과 견주어 보는 기회로 삼았다. 백일이란 밝은 낮을 의미한다. 밤에 모여 친목을 도모하고 시재를 견주어 보는 망월장(望月場)과 더불어 유생들 사이에 성행하였다. 문교진흥책이요, 학업 장려 행사였다.
오늘날에도 각종 문화행사에 빠짐없이 등장한다. 그만큼 소중하고, 가치 있는 일이기 때문이리라. 명칭이 다르거나, 방식이 다를 뿐이다. 현장에서 결과를 발표하고, 시상하는 경우도 많이 본다. 우암백일장은 차후에 심사하고, 입상자 대상으로 특정한 날에 시상식을 한다. 오늘이 심사 날이다.
수십 차례 심사했지만 쉽지 않다. 한 자 한 자에 담긴 글 쓴 사람의 노고를 생각하자면 미루어 고려해야 할 사항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생각이 많다 보니 항상 다른 심사위원보다 심사속도가 늦다. 척 보면 안다거나, 몇 줄 보면 안다는 사람과 견줄 바가 못 된다.
글제가 어머니, 효도, 우정이다. 어떤 말도 다르지 않겠지만, 일상적이면서 많은 것을 사유케 하는 말이다. 누구나 많은 애증 관계가 있을 법한 평이 한 단어이다. 그러나 주어진 글제로 글을 쓴다는 것이 생각같이 쉽지 않다. 생각하지 못했던 주제에 황당해하는 아이도 눈에 띈다. 자간에 보인다. 엉뚱한 주제로 글을 쓰거나, 여러 가지 뭉뚱그려 쓰기도 한다. 필자 역시 갑작스러운 주제로 좋은 글 쓸 자신이 없다. 재간도 없다.
억지로 끌려 오거나, 덩달아 따라온 아이도 있는 탓일까? 이름만 적어 내거나, 원고지 한두 장에 몇 자 끄적거려 낸 아이의 글도 있다. 산만한 분위기에 정리된 생각이 나오기 쉽지 않다. 정신력이 강한 탓일까? 현장에서 보면, 주위와 무관하게 진중한 아이도 있다. 아예 사람 눈에 잘 띄지 않는 곳으로 찾아들어, 똬리 틀고 사색에 잠긴 아이도 있다. 면벽 참선하는 모습도 보인다. 이 또한 어떠한 환경에서도 자기 일을 할 수 있다는 소중한 체험 아니겠는가?
기본이랄까? 글을 흘겨 쓰거나 알아보기 힘들게 쓰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 필체가 나쁜 걸 탓하는 것이 아니다. 필체가 다소 좋지 않더라도 진중한 자세로 또박또박 쓰는 것이 첫 번째 글쓰기 방법 아닐까? 백일장뿐만 아니라, 어떠한 경우도 다르지 않다.
학교에서 선발된 아이는 예상 주제로 글쓰기 연습을 하고 왔을 것이다. 또 현장에 함께하신 교사는 글제와 관련된 지도의 말씀을 해주었을 것이다. 내용이나 글 전개 방식 모두 비슷한 경우가 많다. 지도교사 언질로 사고의 문이 열린 탓이리라. 다급한 탓이었겠으나 다양한 사고의 틀(paradigm), 사고방식 지도로 개인의 감성을 끌어내는 촉매 역할만 하면 어떨까 하는 아쉬움이 있다. 획일적인 글이 되는 것은 좋은 현상이라 할 수 없다.
간접체험을 포함한 체험적 스토리텔링 방식의 글이 많아졌다. 감동을 주기에 용이한 방식 중 하나이니 호불호를 따질 필요는 없다. 다만, 진솔하여야 한다. 공상을 이야기로 풀어내면 감정 전달이나 감동 주기가 쉽지 않다.
작품성이랄까? 개성 있는 글도 더러 있다. 간혹 보이는 신선한 시각과 감각은 배울 점이다.
널리 알려진 좋은 글 쓰는 방법, 작문의 삼다(三多)는 다독(多讀), 다작(多作), 다상량(多想量)이다. 우선 다른 사람의 글을 많이 보고, 많이 써보아야 한다. 이해를 바탕으로 한 논리적이고 창의적인 생각이 함께해야 한다. 낱말 선택, 문장구성, 글맛 내는 법, 목적에 따른 문체 선택 등은 차후 문제이다.
기성 작가도 좋은 글쓰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항상 연구하고 새로운 방법을 시도한다. 좋은 글 기준설정이 각기 다르다. 좋은 글 선정 방식 또한 지극히 주관적이요, 천차만별이다. 입상자가 못된 참가자도 아쉬워하지 말자. 누구나 겪는 과정이다. 백일장에 참가하여 고민하고, 그 생각을 글로 옮겨 써 본 자체가 훌륭한 역사이다. 글쓰기는 정신세계를 넓히고 높이는 데에 필요한 질 좋은 자양분임이 틀림없다.
양동길 / 시인, 수필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