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질이란 생의 초기부터 즉, 태어날 때부터 한 인간이 지니고 있는 그 사람의 성격이나 행동에 개별적인 성향을 말한다. 그 성향이 성격의 한 부분이 된다. 인간의 전 생애발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특성과 심리 생물학적 특징으로 외부적 자극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는가를 나타낼 수 있는 행동양식에서의 개인차가 있다.
프로이트가 말한 심리구조 이드, 자아, 초자아 중 이드는 욕동의 저장소로서 태어날 때부터 기질적으로 결정되는 것이며 경험과는 상대적으로 무관하다고 보았다. 기질은 원인론이나 불변론 같은 함축적 의미를 지니지 않고 발달과정 안에서 환경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기질이란 선천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개인적 성향이므로 외부 자극에 의해서 '어떻게 행동하고 대처하는가', '어떻게 행동하는가', '무엇'을 행하고 '왜' 행하는가 하는 능력과 동기와는 별개의 것이다. 인간의 기질을 사회성, 정서성, 활동성, 충동성의 4가지 차원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따라서 기질이란 한 사람의 개별성이 태어날 때부터 지니고 있으며 그러한 개별적인 성향은 자신의 성격의 한 부분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개별적 성향과 성격은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주위 환경과 사람에 의해 충분히 변화 가능하다.
우리는 실수 할 수 있고, 다른 사람들의 도움을 필요로 하기도 한다. 여기서 실수라는 것은 일적인 문제, 마음의 표출까지 등 모든 것을 포함한다. 아이를 성인으로 착각하면서 자기 스스로 모든 일을 척척해주기 바라면서, 어쩔 때는 자신의 소유물로 생각하면서 버리기도 하고, 때리기도 하고 함부로 막 다룰 때도 있다. 건강한 수치심은 자신의 실수를 인정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손을 내밀어 도움을 청할 줄 안다. 그러나, 어느새 자신의 실수를 비관하거나 수치스럽게 여기면서 해로운 수치심으로 바뀌게 된다. 그것은 어디서 비롯된 것일까?
수치심 그 자체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감정으로 나쁜 것이 아니다. 수치심과 아이의 양육, 학대가 무슨 연관이 있을까? 결국 자신의 내면에 건강한 수치심이 아니면 타인에게 상처를 입히게 된다. 가장 큰 피해자는 가족 특히 자녀들이다.
에릭슨의 사회심리적 발달 8단계에서 가장 기초적인 1단계를 보면, 기본적인 '신뢰 vs 불신'이 형성된다. 이 과정에서 신뢰감이 불신감보다 더 강하게 자리 잡게 된다. 이 때 가장 중요한 대상은 부모다. 신뢰감이 잘 형성됨으로서 자존감과 자신의 가치를 느끼게 된다. 여기서부터 자신 안에 건강한 수치심과 해로움의 수치심으로 나뉘게 된다. 예를 들면 울고 있는 아이를 챙겨주지 않고 방치하면 자신의 욕구에 사람들이 무관심하다고 여겨 세상을 불신하게 된다.
우리 자신을 힘들게 하는 보여지지 않는 자신에 대한 수치심의 마음을 어떻게 치유할 수 있을까? 어떤 상황에서든 감정의 표현을 제대로 보여 주고 가르쳐 주는 사람이 필요하다. 이 때 무엇이 가능하고 불가능한지를 배우게 된다. 그러면서 차츰 자신의 세계를 스스로 구축하면서 자율성을 길러 나가는 동시에 사랑받고 있다는 것에 확신을 하게 됩니다.
우리는 태어나자마자 엄마에게 의존하게 된다. 그런 관계 속에서 우리는 '나' 이기 이전에 이미 '우리'였다. 우리는 사랑받으며 성장해야 하는 존재다. 또 누군가를 돌보아 주어야 하고 남에게 자신이 필요하다는 확신과 도움을 주는 역할도 필요하다. 충분한 사랑에 대한 신뢰는 건강한 가치관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기본단계에서 중요하게 형성된 신뢰는 성인이 되어 자녀를 양육할 때, 훈육하는 것인지 자신의 감정에 못 견디어 학대에 이르게 되는지는 자신을 끊임없이 드려다 봐야 합니다.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사랑하는 것이 우리들에게 어려운 숙제처럼 느껴질 수도 있다. 자신의 감정에 솔직하다보면, 숙제가 아닌 일상처럼 옆에 다가와 있을 것이다. 그것이 바로 자신을 사랑하고 자녀에게 '행복한 양육'이 될 수 있다. 만약 어릴 때 형성되지 않는 신뢰감이라면, 지금부터 자신이 자신에게 신뢰감을 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거기에는 충분한 연습과 색다른 경험이 필요하다.
박경은 가득이심리상담센터 대표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