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현 기자 |
최근 한 부동산 커뮤니티에 게재된 글이다. 작성자는 대전 이주를 고려하고 있었지만, 이주가 어렵다고 하소연했다. 너무나도 오른 집값 때문이다.
대전의 경우 몇년 전만 해도 집값이 적당해서 살만하다는 얘기가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이제는 평범하게 돈을 모아서는 원하는 곳의 아파트를 살 수 없을 정도가 되어버렸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 10월 대전 주택매매가격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5.56% 올라 전국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특히 유성구(7.81%)와 서구(7.77%)가 전국 시·군·구 중 최고 상승률 기록했다. 중구(5.38%) 역시 상승세를 보였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을 보면, 대전 서구 둔산동 크로바아파트 전용면적 134㎡는 지난 2월 8억 500만원에 거래됐으나, 지난 8월 11억 원으로 거래돼 6개월 만에 3억 가까이 올랐다. 서구 월평동 무지개아파트(84㎡)도 지난 3월 2억6600만원에서 지난달 3억5600만원으로 1억원 가까이 급등했다.
분양가 또한 크게 뛰고 경쟁률 또한 치열하다.
2016년 800~900만 원 수준에 머물던 분양가는 1200~1300만원 선으로 크게 상승했고, 지난 3월 대전아이파크시티 1단지의 경쟁률 56.6대 1, 2단지는 86.4대 1을 기록했다. 최근 분양한 도마 e편한세상 포레나는 평균 78.7대 1, 중구 목동 '더샵 리슈빌'은 148.22대 1이라는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무주택 서민에게 아파트는 '그림의 떡'이 되어가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대전의 경우 전국적인 부동산 경기 침체에도 공동주택 매매가격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청약 과잉 현상을 보여 정부 규제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주택가격 상승률이 물가상승률보다 현저히 높고 최근 2개월 월평균 청약경쟁률 5대 1 초과 등 분양가상한제 필수 요건인 투기과열지구 지정 요건을 만족했기 때문이다.
부동산 업계에선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하지만 예상과는 정부 부동산 규제는 서울에 국한됐다.
업계에서는 규제를 피한 대전에 투자자들이 몰려 집값이 더욱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민 무주택자들에게 내 집 마련은 더욱 먼 나라 이야기가 될 것이라는 말과 함께.
고삐 풀린 대전 집값이 어디까지 치솟을지,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과열되는 대전을 잡지 않는다면 지역 내 무주택자들의 시름은 더욱 깊어질 수밖에 없다.
정부가 너무 서울 강남을 겨냥해 초고강도 규제를 내놓는 등 서울 집값 잡기에만 급급해 보인다. 과열되는 지방 부동산 시장을 돌아봐야 할 것이다.
김성현 기자 larczar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