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주부로 집안 일만 하다 직장생활을 시작해 보니 참 많은 새로운 것들을 경험한다. 하물며 점심을 먹고 밥값 계산하는 것부터가 예전과 달라져 깜짝 놀랐다. 20여 년 전 일본에 갔을 때 함께 식사하던 일본인들이 더치페이하는 것을 보고 물가가 비싸다 보니 그럴 수밖에 없다고 이해 가는 부분도 있었지만 참 인색하고 정이 없다고 생각했다
요즘 식당은 여럿이 식사를 하러가서 계산을 할 때 각자 먹은 음식 값을 각각 따로 카드로 계산을 하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같이 식사를 하러 온 일행일지라도 식당에서는 자연스러운 일이라는 듯이 고객들이 한 명씩 자신이 식사한 음식명을 대면 각자의 카드로 각각 계산해 주는 것이다. 아마 현금을 가지고 다니지 않는 요즘에 맞춰서 생겨난 방법일 것이다. 처음엔 그 광경이 참 놀랍기도 하고 신기하기도 했다.
신(新) 문화라는 생각이 들었다. 사실 우리나라에서나 그렇지 선진국에서 더치페이는 당연한 것이지만 이렇게까지 식당에서 각각 카드로 계산하는 문화는 접하지 못했던 것이다. 함께 밥 먹으러 와서 마치 따로 밥 먹은 것 같은 기분이랄까. 처음 접했을 때는 참 묘했다.
하지만 예전 정이 없다고 생각했던 것이 지금은 참 편하고 실리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예전 현금 시대 때는 걷어서 내면 되었지만 현금을 잘 가지고 다니지 않는 요즘, 한 사람이 계산을 하고 나중에 식사 값을 받기가 곤란할 때가 많다.
2007년부터 한국에 살고 있는 미국인 패스트라이시 경희대 교수는 한국어를 능숙하게 구사하고 2013년 한국을 소개하는 여러 책을 펴낼 만큼 한국 문화에도 정통하다. 그는 한국에 와서 누군가 한 사람이 밥값을 내는 분위기라, 처음에 계산을 누가 하는 건가 밥 먹을 때마다 헷갈렸다고 한다. 지금은 많이 익숙해졌고 연장자로서 밥값을 내는 일도 많아졌다고 한다.
"한국식 계산 문화가 아름다운 건 그 안에 다른 사람에게 따뜻한 밥 한 끼를 아무 대가(代價) 없이 대접하는 한국인의 정이 담겨 있기 때문이에요. 그런 마음 없이 친하지도 않은 사람의 음식 값을 내거나 대가를 바라고 식대를 지불하는 건 한국식 계산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라고 패스트라이시 교수는 한국식 밥값 문화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그러나 더치페이 문화가 아무리 좋다 하여도 청춘남녀가 데이트 할 때도 그럴까?
김소영/ 수필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