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프로축구연맹 |
협상 과정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고육지책이라는 분석과 함께 일각에선 '정치인' 허태정의 컨벤션 효과 극대화라는 계산법도 깔려 있는 것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허 시장은 지난 16일 기자회견을 자청하고 "관심을 보이는 대기업이 있어 비공개 실무협상을 진행하고 있다"며 "기업에서 MOU 체결 전까지 비공개 요청이 있었다"고 밝혔다.
기업 측의 요구로 기업명을 함구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 허 시장의 공식 입장인 셈이다.
허 시장은 언론은 물론 시청 내 관련 업무 담당자 조차 눈치채지 못할 정도로 극소수 최측근만을 데리고 베일에 가려진 기업과 줄다리기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007작전을 방불케 하는 협상 테이블을 차린 것은 협상 과정에서의 불확실성을 제거하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허 시장은 일단 기업 측으로부터 연고지 유지와 투자유치를 전제로 시티즌 운영권 이관을 결정했지만, 세부적인 투자규모와 홈구장 등 각종 시설 운영권 등을 둘러싸고선 막판 진통을 겪고 있다는 전언이다.
뿐만 아니라 협상 과정에선 선수 및 프런트 고용승계 등 구단 구성원의 이른바 '밥줄'과 관련된 상당히 민감한 문제들도 다뤄지고 있다.
만약 기업 이름이 공개될 경우 지역 시민사회계는 물론 경제계, 정치권 등에서 협상 과정에서 좀처럼 수용키 어려운 요구조건이 쏟아질 수 있다. 기업 입장에선 이를 '압박'으로 받아들일 가능성이 다분하다.
이렇게 될 경우 일사천리로 진행되던 협상이 자칫 제동이 걸리며 최악의 경우 협상 결렬과 기업구단화 무산으로 비화될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한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밀실 협상' '거래 의혹' 등 비판을 감수하고서라도 지금까지 공든 탑을 무너뜨릴 수 없다는 허 시장의 의중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함께 '행정가 허태정'이 아닌 '정치인 허태정'으로의 계산법도 기저(基底)에 깔려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40년에 가까운 K리그 역사상 시민→기업구단 전환 시도는 이번 시티즌 사례가 처음이다. 이 때문에 한국 축구계는 물론 경제계 시선까지 대전으로 모이고 있으며 그 중심엔 허 시장이 있다.
과연 시티즌에 투자할 기업이 어디냐를 놓고 하마평이 무성하지만, 최종 확인은 허 시장의 입을 통해서만 가능한 상황이다.
재선 기초단체장 출신인 그는 지난해 6·13지방선거에서 체급을 올려 광역단체장에 처음 당선됐다. 민선 7기 최대성과 중 하나가 될 이같은 이슈를 최대한 길게 끌고 가고 싶은 심산이라는 것이다. 자신에게 스포트라이트가 집중되는 것을 마다할 정치인은 없다. 허 시장이 시티즌 투자기업을 단 한 번의 브리핑으로 밝히지 않고 지금까지 수차례 뜸을 들여온 이유가 이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정치권에선 허 시장의 '이슈 끌어가기'가 이번이 처음은 아니라는 지적이다. 그는 지난해 선거 과정에서 새 야구장인 베이스볼드림파크 중구 건립을 공약으로 내걸었지만 정작 당선 이후 자치구 신청을 받는 것으로 정책을 전환했다. 결국 새 야구장 이슈는 지난 7월 최종 입지가 중구로 확정될 때까지 결정될 때까지 1년 동안 지역을 뜨겁게 달군 바 있다.
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