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대전시티즌 홈페이지 |
스포츠산업 성장세 속 고정 팬층이 탄탄한 프로축구 시장에 대한 대기업 투자는 이 분야에서 대전의 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한 휘발성 요인이 되기 충분하기 때문이다.
2023년 95조 원에 달할 것으로 보이는 국내 스포츠 산업을 대전이 주도하기 위한 지역 민·관·정의 역량결집이 시급해 보이는 대목이다.
문화체육관광부 2018 스포츠산업 실태조사(2017년 기준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스포츠산업 시장은 사업체 수 10만 1207개, 매출액 74조 7000억원, 종사자 수 42만 4000명에 달한다. 전년보다 사업체수 6.1% 매출액 2.9%, 종사자 6.3%로 각각 늘어났다.
하지만, 시도별로 따져보면 대전의 스포츠산업 규모는 전국의 중하위권 수준이다.
매출액 9위(1조 4580억원), 사업체 수(3025개사) 와 종사자 수(1만 1000명)의 경우 각각 13위에 그치고 있다.
지방 광역시 가운데 스포츠시장 규모가 가장 큰 부산시와 비교할 때 매출액(5조 6270억원)은 4분의 1수준에 불과하다. 또 사업체 수(7127개사)와 종사자 수(2만 8000명)은 각각 40% 안팎이다.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지역 지자체와는 시장 규모가 비교조차 하기 힘들다. 수도권 3개 시·도 스포츠 산업 매출액은 전국의 67.8%에 달하며 사업체 숫자와 종사자 숫자도 각각 47.7%, 56.8%에 달하기 때문이다.
문체부 2018 스포츠산업 실태조사 |
이런 가운데 대전시티즌 투자유치가 지역 스포츠 산업 발전을 위한 변곡점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현재 한국 프로축구 2부리그 K리그2 소속의 대전시티즌 연간 운영비는 100억원 안팎. 해마다 대전시 재정지원 80억원 자체수입 20억원 가량으로 짜인 재무구조 틀에서 구단을 경영해 왔다. 이처럼 자생력이 부족했던 구단에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식으로 혈세를 투입하다 보니 비판에서 자유로울 때가 거의 없었다. 하지만, 앞으로 대기업의 막대한 '실탄'을 앞세운 투자가 이뤄질 경우 구단운영 면에서 '규모의 경제' 실현이 가능하다. 프로축구 관련 사업체 창업과 기존 타 시·도 소재 기업유치 등 지역 스포츠 산업 전반에 대한 낙수효과가 기대되는 대목이다.
나아가 홈구장인 대전월드컵경기장 활성화는 물론 기존 지역 프로구단인 프로야구 한화이글스와 공동마케팅에 따른 지역경제 시너지 효과도 노려볼 수 있다.
기업구단 전환 이후 대대적인 전력보강이 이뤄질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K리그1 승격과 아시아챔피언스리그(ACL) 진출권까지 손에 넣을 경우 K리그를 넘어 아시아 무대로 대전 스포츠산업 영토를 확장하는 기회를 잡을 수도 있다.
지역 체육계 관계자는 "대전시티즌 투자유치를 계기로 스포츠산업 파이를 키우고 지역 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민·관·정이 힘을 모아야 할 것이다"고 촉구했다.
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