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움초 장은정 교사 |
조금은 아날로그적이고 진부하게 들릴지도 모르겠지만, 나에겐 그 방법 중 하나가 교단일기 쓰기가 아닐까 한다. 그날의 수업 이야기들을 촘촘히 적어 학부모님들께 발송하거나, 동료교사들에게 공개하는 일은 교사가 되고부터 꾸준히 하고 있는 교육활동 중 하나다.
높게 쌓여 있던 교단의 높이를 낮춰 학생들과 보다 진실 되게 소통하고, 굳게 닫혀 있던 교실의 문을 열어 부모님들께서 좀 더 편하게 교실 문을 두드리시고자 하는 시도로 적기 시작한 것이, 어느덧 나의 교실을 표현해주는 중요한 랜드마크 같은 것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그간 기록한 종이들도 켜켜이 쌓여 책 한권 분량이 나올 만큼, 나의 교단일기는 몇 년 사이에 양적으로도 훌쩍 쌓였다.
그렇다면 나에게 교단일기는 어떤 의미였을까.
누군가 나에게 그간 기록해온 교단일기를 한마디 말로 정의 내리라고 한다면, 또다른 말들도 많겠지만, 그건 바로 '사랑'이었노라고 말하고 싶다.
부모님들께서 교사에게 듣고 싶은 말이 아이에 대한 칭찬이라는 걸 경험적으로 터득하기 훨씬 이전부터, 나는 교단일기엔 꼭 아이들의 칭찬거리들을 적어 발송해드려야겠다고 다짐하곤 했었다. 그리고 그런 다짐을 하는 날이면 왠지 모르게 더 아이의 예쁜 점을 찾으려고 노력하는 기특한 나의 모습을 발견하게 되기도 했었다.
그런 의미에서 교단일기는 나에게 '지켜보기'와 '관계 맺기'를 지속하게 해주는 강한 동기부여가 되어주기도 했었던 것 같다. 수업을 통해 아이에게 일어나는 지식의 외연적 확장뿐만 아니라, 등굣길에서 아이와 나눈 한마디, 점심 먹으면서 나눈 시시콜콜한 농담들도 모두 교단일기의 좋은 소재가 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재미있게도, 요새는 교단일기를 쓰기에 더욱 좋은 환경이 되었다.
학급 증설로 2학기 때 새로 개설된 반을 담임하게 되었는데, 그래서 오늘의 나는 단 한 아이만을 위한 담임으로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ㅡ그렇다, 현재 나의 반엔 아이가 단 한 명이다ㅡ.
하루 6시간을 꼬박 단 한 아이만을 지켜보고, 단 한 아이하고만 관계 맺을 수 있는 특별한 사명이 내게 주어진 셈이다. 단 한 아이만을 위한 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작업에 심장이 두근 두근거리는 날들이다.
원체 의미 부여하는 것을 좋아하는 나로서는, 단 한 명을 위한 교단 일기라는 이 말 앞에선 아직도 마음이 벅차다. 아이 하나, 그리고 나 하나 있는 우리 교실에서, 아이는 오늘도 웃고, 배우고, 꿈을 꾸고, 나는 아이를 지켜보고, 아이에게 다가가며, 아이의 어제를 기록하고 있는 중이다. 오늘을 사는 아이와, 아이의 내일을 열어주는 내가 합작하는 이 선율에 어떤 아름다운 말들이 담기게 될지,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하루하루다.
요즘 같이 단 한 아이만을 위한 기록이라면 '육아일기'라는 표현이 더 적합할 지도 모르겠지만, 늘 '교단일기'를 쓰는 마음으로ㅡ, 즉 '사랑'으로, 아이를 바라보고 싶다. 아이의 오늘과 내일 앞에, 나는 오늘도 교사로서 나의 존재의 의미를 느끼는 터,
"아이야, 선생님은 너에게 주고 싶은 것들이, 너무나도, 정말이지 너무나도 많구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