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동등한 선택의 권한을 갖는다. 일상생활은 그 선택 하려는 의지의 강도가 약하다. 습관화 되어있기 때문이다. 식탁에 가는데 굳이 길을 묻지 않는다. 천천히 갈 것인지, 빨리 갈 것인지 따지지 않는다. 음식 조절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매일 먹는 끼니 결정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지는 않는다. 가부를 물을 필요가 없다. 차려진 밥상 앞에 절로 가 숟가락을 든다. 때로는 어느 것을 먹을 것인가 고민한다. 일상에서 벗어나고 싶거나 탈피하고 싶어 하기도 한다. 미세한 맛에 집착하는 경우도 있다. 우리는 그를 미식가라 부른다. 일상생활을 벗어나면 얘기가 달라진다. 욕망의 크기에 비례하지만, 그 크기만큼 선택의지가 불타오른다.
무제한 권한은 없다. 선택의 폭은 사회적 규범을 포함한 시대상황이나 환경, 정치이념에 의해 제약을 받는다. 집단, 국가도 마찬가지다. 그러므로 그를 지켜 내거나 확장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한다. 모든 생명체는 누군가의 간섭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몸부림친다. 개체의 위상에 따라 선택 범주가 크게 좌우된다. 그런 까닭으로 일생동안 영역 확장에 열정을 받치는 것이다.
제약 요건 중 다른 하나는 개인의 활동범주이다. 심신 활동 영역이 되겠다. 선택은 활동영역의 지배를 받는다. 아는 만큼 세상이 보인다. 흔히 견문이라고 하는 것이 그것이다. 견문이 넓을수록 선택 폭이 커지고 바른 선택이 가능해 진다. 물론, 알고 있다고 모두 선택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다. 정비례하지 않지만 지식이나 정보 획득의 크기에 따라 선택 폭이 넓어지는 것은 분명하다. 정신세계가 넓어지면 넓어지는 만큼 삶이 풍요로워 진다.
스스로 선을 긋는 경우도 있다. 골치 아프다며 생각 자체를 멀리하는 사람이 있다. 기계치라며 기계를 멀리하기도 한다. 문명의 변화나 진보를 멀리하는 사람이 생각보다 많다. 그것도 선택의 폭을 줄이는 일이다.
필자는 삼십대 초반, 지인의 안내로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에 취업했다. 관계 인력도 많지 않고, 정보도 부족했다. 비로소 개인용 컴퓨터관련 본격적 교육이 시작되던 무렵이다. 정보산업 초기여서, 미래 산업에 대한 막연한 호기심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기억된다. 관리직으로 입사했지만, 호기심에 불타 컴퓨터를 들여다보게 되었다. 완벽하지는 않았지만, 6개월 만에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을 한다. 나중에 안 일이지만, 장안의 화제가 되었었다. 정보기기 생면부지의 미술 전공자가 어떻게 6개월 만에 프로그램을 만드느냐고 경이로워 했던 모양이다. 지금은 개인용 컴퓨터의 응용소프트웨어 대부분이 개발도구를 활용하지만, 당시엔 어셈블러, 베이직, 코볼, 포트란, 씨 등 컴퓨터 언어를 사용하였다. 언어의 기능과 적용, 프로그램 설계와 코딩이 쉬운 것은 아니다. 능력이 탁월하다는 말도 결코 아니다. 필자가 프로그램 제작과 관련이 있었다면, 장인 정신이 아니었을까 짐작해 본다. 집중력이 그것을 가능케 했다고 본다.
이러저러한 이유로 정보개발 업체를 창업하게 된다. 업무용 응용 소프트웨어로 세계를 제패하겠다는 웅지를 갖는다. 처음의 포부와 달리 이십여 년 만에 문을 닫게 된다. 사업에 실패한 것이다. 사업한 나날 전부가 낭비는 아니었다고 자위해 보지만, 하루 이틀도 아니고 길다면 긴 세월을 허송한 것이 되고 만다.
선택의 잘못이었다는 생각이다. 돌이켜 보니 행복은 결코 영역 확대에 있지 않다. 그 크기에 비례하지도 않는다. 단지 스스로 선택했을 때 얻어지는 순간의 만족감, 행복감이 있을 뿐이다. 운명론이나 결정론을 신봉하는 사람의 자유의지 부정과도 다르다.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심리학자인 사이먼(Herbert Alexander Simon, 1916 ~ 2001, 1978 노벨경제학상 수상)은 선택 앞에서 행복하지 않은 사람과 행복한 사람을 극대화자(maximizer)와 만족자(satisficer)로 구분한다. 극대화자는 끊임없이 최고의 선택을 원한다. 따라서 늘 불안하고 만족스럽지 못하다. 결정을 후회한다. 만족자는 자신의 위치와 위상에 걸맞는 선택을 한다. 선택의 순간, 그것이 최선이었다고 생각한다.
극대화자가 세상을 어지럽게 한다는 생각이다. 극대화자에게 그 끝은 존재하지 않는다. 마음이 영역확대 욕망만으로 가득 차 있다. 영역은 책임 속에 있는데 말이다. 책임감 없이 영역이 넓어지지 않는다. 그 책임감을 즐길 때에도 행복하다. 자신의 영역조차 전혀 책임지지 않으면서 사회적 책임을 진다고 한다. 참 별일이다.
자신도 사회도 행복은 만족의 크기에 비례한다. 오유지족(吾唯知足)은 스스로 족한 줄을 아는 일이다. 그렇다고 이래도 좋고 저래도 좋다는 말이 아니다. 조화롭게 가자는 말이다. 선택은 행복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는 생각이다.
양동길 / 시인, 수필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