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 이미지 뱅크 |
남동생 부부는 뜻하지 않게 늦둥이를 갖게 된 이후로 늘 걱정과 고민이 많았다. 요즘같이 살기 어려운 때, 아이 셋 키우는 일이 너무 힘들 것이란 건 불 보듯 뻔했기 때문이다. 저출산이 고민인 우리나라에 큰 공헌을 한 일이지만 이들 부부에게는 아이 셋인 삶은 버거운 일이었다. 출산 후 그 어려움은 현실로 다가왔다. 정부에서 의료비와 양육비 등 경제적인 면으로 조금 부담을 덜어 준다라고 해서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고 한다. 그렇다면 저출산 문제가 복지를 좋게 하면 해결될 것인가?
문재인 정부는 '출산 장려'에서 '삶의 질 향상'으로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을 선언하고 막대한 예산을 쏟아부었지만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지난해 세계 최하위 수준인 0.98까지 떨어진 상태다.
여러 가지 문제들이 있겠지만 어려운 시대를 꿋꿋이 견뎌내고 힘든 일을 묵묵히 견뎌왔던 예전 어머니들에 비해 곱게 자란 요즘 젊은 엄마들은 육아를 우리 어머니들 세대보다 견디기 힘들어한다. 그리고 아버지 중심의 1인 생계 부양자 모델에서 맞벌이 부모의 급증으로 가사와 육아가 오로지 엄마에게만 있지 않고 부부 공동책임 구조로 변했다. 남동생 부부 또한 올케가 혼자서 아이 셋을 돌보는데 어려움을 느끼자 동생은 육아휴직을 내려고 했지만 대체인력이 없다며 무산되었다고 한다. 이렇듯 실질적으로 아직까지는 정부에서 내세운 대책들이 잘 이루어지진 않고 있다.
이렇게 육아가 힘들다는 것이 문제이기도 하지만 서울대 장대익 교수의 진화론적인 설명에 의하면 동물 세계에서는 주변에 자기와 같은 종의 개체가 넘쳐나면 출산하지 않는다고 한다. 낳아봤자 경쟁이 치열해 살아남을 확률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사람으로 치면 인구밀도 문제다. 동물은 이럴 때 출산 대신 자신 경쟁력을 높이는 쪽으로 힘을 쓴다고 한다. 자기의 위상을 더 높인 다음 짝짓기 하는 게 번식에 더 유리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래서 요즘 현대인은 아예 아이를 낳을 생각을 하기보단 자기개발에 더 관심을 갖게 된다는 것이다.
지금 한국 사회에 적용해 보면,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이 0.98으로 매우 낮지만 인구 밀도가 높은 서울은 0.8명으로 수준이 더 낮다. 그렇게 본다면 장대인 교수의 진화론적 설명이 아예 틀린 말은 아닌 듯하다. 그래서 츨산 대책으로 다양한 복지를 제공하는 것만이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오히려 경쟁은 더 치열해지고 사람들은 출산을 더 하지 않으려고 할 것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도대체 무엇으로 저출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아이를 낳고 키우는 부모가 경제적으로도 문제가 없어야겠지만 정신적인 문제도 해결되어야 한다. 너무 경쟁적인 사회가 아니라 안정된 사회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 부모가 아이를 낳고 키우려는 마음이 들기 때문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저출산의 문제에서만 본다면 모든 아이들을 내 아이 남의 아이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모두 나의 아이인 것처럼 여기고 키우는 사회적 공동육아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그렇게 된다면 경쟁적인 관계가 아닌 다 함께 잘 사는 공동체 사회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나만의 아이가 아니라 사회가 필요로 하는 아이를 사회가 책임지고 잘 키우는 공동체 마인드를 가진다면 아무 걱정 없이 아이를 낳게 되지 않을까?
언제나 그런 사회가 될 수 있을까? 그것은 개개인들이 공동체 마인드를 가질 수 있도록 의식변화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김소영 / 수필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