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음사 제공 |
황현진 지음│민음사
"강도의 칼에 찔려 죽다니요, 뭘 훔쳐 본 적도 없는 사람인데요."
집으로 찾아와 사고 소식을 전하던 순경에게 배두이가 물었을 때 그는 손짓으로 걸어야 할 방향을 알려 주며 말했다.
"죽는 일은 인과응보와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사는 일이나 그렇죠." -본문 중에서
두이는 어느 날 남편이 강도의 칼에 찔려 죽음을 당했다는 비보를 듣는다. 그에게 남은 가족은 실종된 남동생과 그의 딸인 조카 호재뿐이다. 동생을 대신해 호재를 맡아 길렀던 두이는 연락이 끊어졌던 호재에게 전화를 한다. 발인에 맞춰 인사만이라고 하고 가라는 말을 전하고 끊을 무렵, 호재가 물었다. 안 우십니까. "고모는 안 울어." 두이에게 세상만사는 순조로운 적이 없었다. 닥치는 일은 당연하게 여기고 살았다. 그렇기에 울지 않았다.
두이가 부재하거나 불능이었던 아버지들의 세계에서 희생을 자처하며 살아온 여성이었다면 호재는 자신의 삶을 묵묵히 견디는 사람이다. 부모가 아닌 고모 가족의 보살핌을 받았기에, 정상 가족의 범위에서 벗어나 있다는 콤플렉스는 그의 삶을 짓눌렀다. 고모부의 죽음으로부터 촉발된 호재의 기억은 서울 변두리 여성의 가혹한 성장담과 우연히 알게 된 아버지의 무력한 비밀로 점철된다. 그것들을 없는 듯 털어 내려 홀로서기에 나섰지만, 현실의 고단함은 결코 녹록치가 않다. 고모부의 죽음은 호재를 다시 과거의 연결점으로 돌아오게 한다. "우연히 불행한 건지, 당연히 불행한 건지" '행복과 기대가 담긴 거창한 이름'을 가진 호재는 알고 싶어 한다.
소설가 조남주는 『호재』를 가혹하고 냉정한 운명 앞에 필사적으로 버티고 있는 사람의 눈물과 한숨 끝에 놓아주고 싶다고 추천한다. 평론가 허윤은 한국소설의 낡고 녹슨 가족 이야기로부터 거리를 취하려는 작가의 태도가 그야말로 여성적이라고 평한다. 한 여성의 남편이자, 다른 여성의 고모부였던 남자의 죽음의 원인을 직감케 하는 미스터리와 그 죽음을 둘러싼 운명의 가혹함을 드러내는 하드보일드를 축으로, 이야기는 끝내 정점까지 치달아 오른다. 행불행의 인과관계나 당연함에 대한 의문은 그 안에서 독자 개개인의 마침표를 찍을 것이다.
박새롬 기자 onoin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