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진 교육문화부 기자 |
어린 시절부터 맞춤법에 집착했던 내게 친구들이 늘 하던 말이었다. 안과 않, 되와 돼를 구분하지 못하는 문자메시지를 보면 내용에 대한 답장보다 맞춤법에 대한 지적이 앞섰다. 스마트폰으로 넘어오면서 이런 집착은 많이 사라졌지만, 여전히 오타를 보면 눈에 거슬린다. 나부터도 헷갈리는 단어는 타자를 치기 전에 꼭 검색해서 확인하고 보내는 편이다. 외국어를 못 하는 건 부끄럽지 않지만, 우리말 맞춤법을 틀리면 창피하기 때문이다.
# 고등학생 시절 국사선생님께서는 늘 국어, 국사, 한국지리 '3대 국학'의 중요성을 강조하셨다. 우리 민족의 뿌리가 되는 과목이라면서 영어, 수학만큼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는 당부도 잊지 않으셨다. 하지만 늘 국·영·수에 우선순위가 밀려 사회탐구 과목인 국사, 한국지리에는 상대적으로 시간을 많이 투자하지는 못했다. 선생님 말씀대로 실천하지는 못했지만 그 의도에는 충분히 공감이 됐다.
국어국문학을 전공했던 친구는 대학을 다니는 동안 자신의 학과가 없어질 수 있다는 걱정과 졸업 후 취업이 어려울 것 같다는 근심을 달고 살았다. 그러면서도 친구는 우리말을 공부한다는 이유로 본인이 전공으로 하는 분야에 늘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다. 매년 가을이면 힘들다고 하면서도 학술제를 준비하는 모습에서 한글을 사랑하는 마음을 느낄 수 있었다.
취업률에 밀리고 대학 평가에 밀려 '국어국문학과'가 축소되고 있다. 한남대, 대전대의 국어국문학과는 문예창작학과와 통합돼 '국어국문창작학과'로 탈바꿈 했으며, 배재대 한국어문학과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과'와 국어국문학과가 통합되는 과정에서 진통을 겪기도 했다. 국어국문학과가 축소되는 것은 대전권 대학만의 이야기는 아니다. 건양대는 10년도 더 지난 2005년에 이미 국문과 폐지가 결정됐고, 동국대도 국어국문학과와 문예창작과가 통합됐다.
이렇게 국문과가 대학에서 입지가 좁아지는 원인으로는 '낮은 취업률'이 자주 거론된다. 취업률이 낮으니 대학 평가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 데다 수험생들 사이에서도 인기가 없어 학과를 운영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하지만 국문과의 유지 여부를 취업률로 판단해서는 안 된다. 한 대학 교수는 "입학생이 줄어들면서 학과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것에는 공감하지만, 칼날이 늘 어문계열 학과들에 먼저 겨누어지는 점이 안타깝다"며 "지성의 요람인 대학에 우리말을 연구하는 국어국문학과를 없애거나 축소하는 것이 말이 되느냐"고 꼬집었다.
타당한 이야기다. 취업률이 높지 않다고 해서 없앨 것이 아니라 취업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등 다른 조치를 취해야 한다. 더는 수치에 밀려 줄어드는 국어국문학과가 없길 바란다.
김유진 교육문화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