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은 지난 4일 '노벨과학상 종합 분석 보고서'를 발표하며 지난 노벨과학상 수상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노벨상 수상을 위한 정책적 사안을 제시했다.
분석 자료에 따르면 최근 11년간 노벨상 수상자의 핵심 연구성과 분석 결과 평균 37.7세에 핵심연구를 시작해 53.2세에 완성하고 68.5세에 노벨상을 수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단은 이러한 통계를 바탕으로 국내 노벨상 수상자 배출을 위해 신진 연구자인 20~30대 신진연구자들이 마음껏 도전하고 노벨과학상에 도전할 수 있는 유망연구자들이 독립적 연구에 착수할 수 있는 시스템 정착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보고서는 국내 연구자들이 해외 유수 연구자들과 적극적 소통을 통해 연구 협력을 효과적으로 이끌어내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최근 노벨과학상 수상의 90% 이상이 공동수상이며 수상자 80% 이상 사례에서 수상자 간 직·간접적 상호 협력 관계에 있다는 분석이다. 또 미국·중국·독일·영국 등 수상자 배출 국가 중심의 네트워크가 이미 구축돼 있는 데 반해 우리나라는 협력 중심부와는 거리가 있고 주로 미국과의 협력에 편중돼 있는 실정이다.
재단 보고서는 "세계를 이끄는 주요 연구에서 고립되는 현상을 예방하고 전 세계를 선도하는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선 세계 석학들과 연구협력을 촉진하는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재단 보고서는 지난 10년간 수상자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국내 연구자의 성과 근접도를 판단해 총 17명을 앞으로 유력한 노벨과학상 후보자로 꼽았다. 피인용 우수 연구자 분석을 통해 노벨과학상 수상자를 예측하는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옛 톰슨로이터)가 꼽은 수상 후보자에 이름을 올린 바 있는 KAIST 유룡(화학) 박사와 성균관대 박남규(화학) 박사를 비롯해 물리학 분야 3명(하버드 김필립·성균관대 이영희·연세대 안종현)과 생리의학 5명(서울대 김빛내리·서울대 방영주·KAIST 이상엽·연세대 이서구·이화여대 이찰스)가 분석 대상에 이름을 올렸다. 가장 많은 연구자가 몰려 있는 화학 분야에는 총 9명(UNIST 김광수·고려대 김종승·성균관대 박남규·UNIST 석상일·KAIST 유룡·이화여대 윤주영·UNIST 조재필·서울대 현택환)이 우수한 연구 업적을 쌓았다.
보고서는 연구성과 분석 결과 대부분이 기초과학이 아닌 응용과학에 편중돼 있다며 국가 경쟁력 강화와 다양한 기술 분야 발전·활용을 위해선 기초과학 활성 고민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또 한국 과학이 국제무대서 인정받기 위해 국가 차원의 적극 지원 필요성도 시사했다.
재단 보고서는 "정부 차원에서 해외 저명학자들과의 연구교류를 촉진하고 세계를 이끄는 주요 연구 네트워크에 한국이 포함될 수 있도록 국내 연구자들의 성과 홍보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2019년 노벨과학상은 7일 생리의학상을 시작으로 8일 물리학상, 9일 화학상 차례로 수상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