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석 규모로 마련된 중구 우리들공원 중앙객석은 3일 내내 절반도 채워지지 않았고 관객과의 공감조차 이끌어 내지 못하면서 지역을 대표하는 예술인들의 축제라 부르기조차 부끄러웠다는 볼멘 목소리도 터져 나왔다.
'대전예술제'는 (사)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대전시연합회 주관으로 10개 협회가 협업해 진행됐다. 대전시가 보조금으로 매년 1억 원을 지원하고 있고, 원도심 살리기와 지역예술인들의 활약이 본래 취지다.
올해 공연은 1차적으로 관객 동원에 실패하며 예술제라는 이름이 무색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물론 예술제 기간 동안 중구 효문화 뿌리축제와 대전칼국수축제 일정과 맞물리는 악재가 있었다. 그러나 최근 원도심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버스킹이나 각종 문화축제에 관객들이 몰리는 현상과 비교할 때, 전문적인 예술인들의 공연을 관객이 외면했다는 점은 충분히 대전 예술인들이 곱씹어봐야 할 과제라는 날 선 비판도 전해졌다.
박홍준 대전예총회장은 "공연 초반에는 관객이 적었지만, 후반부로 갈수록 관객이 많이 찼다. 공연 퀄리티도 좋았고, 관객의 숫자로만 이번 예술제를 평가할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공연을 관람한 대전시민은 "연주자와 관람객이 각자의 역할에만 충실한 무대였다"며 획일적인 무대 구성이 아쉬웠다는 감상평을 남겼다.
이번 예술제는 메인무대가 있고 일렬종대로 늘어선 객석이 무대를 바라보도록 구성됐다. 흔하게 볼 수 있는 공연 무대 구성으로 관객들이 무대 앞쪽과 중앙 진입을 꺼리면서 객석이 텅 빈 것처럼 연출됐다. 그러나 실제로 관객석이 아닌 무대 뒤편 벤치에는 꽤 많은 관객이 서서 공연을 관람했다는 것이 주최 측의 이야기다.
대전시 문화 관계자는 "객관적으로 봤을 때도 무대와 객석의 호흡이 없었다. 연주자는 공연만 하고, 관람객은 지켜만 봤다. 현장공연의 이점을 살리지 못한 것이 가장 아쉬운 대목"이라고 설명했다.
대전예총은 관객들이 모이지 않자 객석의 틀을 바꾸며 변화를 시도했다.
박홍준 회장은 "일렬로 늘어선 관객석을 없애고 드문드문 의자를 놓자 그제야 관객들이 다소 유입됐다"며 "향후 공연에서는 다양한 무대 구성과 변화도 고민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또 "10개 협회가 한무대에 서기보다는 소규모로 나눠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 중"이라고 강조했다.
대전시도 '관객참여형'에 포커스를 맞춰 문화공연 변화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했다.
시 관계자는 "내년부터는 시민들이 열광하는 공연, 축제가 되도록 기획단계부터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