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포가는 길 스틸 컷 |
영화 <삼포 가는 길>은 황석영의 소설을 원작으로 합니다. 영화제작자들은 엄격한 검열을 통과해야 했기에 창작 시나리오보다는 이미 발표된 문학작품을 각색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전후 시작된 근대화는 60년대를 거쳐 70년대에 이르러 더욱 본격화되었습니다. 근대화는 경제 개발과 소득 향상을 이끌었지만 부작용과 모순도 드러냈습니다. 한국의 근대화는 한 마디로 공장과 시장의 발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자연히 도시화가 진행됐습니다. 정부는 장기간 저곡가 정책을 유지함으로써 농촌 인구를 도시로 유입시켰습니다. 그들은 도시에서 임금 노동자이자 소비자가 되었습니다.
이촌향도(移村向都). 많은 이들이 고향을 떠났습니다. <삼포 가는 길>은 바로 근대화 속에 고향을 잃어버린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려냈습니다. 한국인들은 근현대사를 거치면서 크게 세 번의 실향을 경험합니다. 일제 강점기, 한국전쟁, 그리고 근대화에 의한 이촌향도가 그것입니다. 실향은 단지 살던 곳을 떠난 것에 그치지 않습니다. 돌아갈 곳을 잃어버린 것이기 때문입니다. 떠나온 지 10여 년 객지의 서러움과 고통을 떨치고 귀향하려는 이들이 맞닥뜨린 현실은 그리던 고향이 이미 없어졌다는 것입니다. 개발 바람에 팔리고, 깎이고, 부서져 옛 흔적이 사라져 버린 '새마을'이 된 것입니다.
영화는 막노동꾼 영달, 출옥 후 공사장을 전전하는 정씨, 도망친 술집 작부 백화가 눈보라를 뚫고 밤길을 걸어 강천역에 이르는 과정을 그려냅니다. 일종의 로드무비입니다. 객짓밥 먹는 데 이골이 난 떠돌이들의 인생사가 설원 위로 펼쳐지며 관객들도 그들의 처지가 자신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공감합니다. 근대화의 어두운 그늘을 봅니다. 이 작품은 <돌아오지 않는 해병>(1963), <휴일>(1968) 등을 연출한 이만희 감독의 유작이기도 합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