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이 문재인 정부 중후반 대한민국호(號) 미래로 도약하느냐 아니면 현실에 안주하느냐가 달린 한 판이다.
대전시와 충남도의 숙원사업인 혁신도시 지정과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의 필수 인프라인 국회 세종의사당과 청와대 세종집무실 설치가 이에 해당한다. 강호축(江湖軸 강원충청호남) 메카를 꿈꾸는 충북 입장에선 이와 관련한 핵심사업인 충북선 고속화 조기착공, 중부고속도로 확장 등이 필수다.
이들 사업은 모두 대한민국호(號)의 균형발전과 지방분권 촉진을 위한 백년대계다. 하지만, 현재로선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정부와 정치권의 무관심과 의지부족 등으로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가 충청의 시각이다. 난국 돌파를 위해선 내년 총선이 변곡점이 돼야 한다는 데 이견은 없다.
충청 민·관·정은 총선 정국 속 여야 정치권으로부터 이와 관련한 명확한 공약화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역량을 모아야 한다. 일각에선 지역발전의 관점으로 볼 때 보수와 진보를 떠나 충청 현안에 대해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하는 정치세력에 힘을 실어주는 과감한 용단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차기 총선은 이와 함께 문재인 정부 2차 평가 성격을 띠고 있다. 1년 전 치러진 6·13지방선거가 현 정권에 대한 1차 중간평가였다면 내년 4·15총선은 현 정권으로선 2번째 심판대인 것이다.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소득주도성장으로 대표되는 경제정책, 국가균형발전과 지방분권 정책에 대한 충청인의 생각이 선거결과에 고스란히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전국 표심의 바로미터인 금강벨트에서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내세우는 '국정안정론'과 자유한국당 등 보수야권의 '정권 심판론' 중 충청인들이 과연 어느 쪽 손을 들어주느냐가 관건이다,
금강벨트 총선 결과는 민주당이 장악한 충청권 4개 지방정부에 대한 중간평가이기도 하다. 총선 시기가 허태정 대전시장, 이춘희 세종시장, 양승조 충남지사, 이시종 충북지사 임기 반환점을 앞두고 치러지기 때문이다.
문재인 정부와 '원팀'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당선된 이들이 현안 해결을 둘러싸고 중앙정부로부터 지원사격을 제대로 이끌어 냈는지 아니면 역량부족을 드러냈는지 여부는 총선 표심에 나타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민주당 '원팀 지방정부'는 출범 이후 그동안 2030아시안게임 공동유치 충청권 문화관광벨트 추진 등 지역현안에 대한 단일대오를 단단히 하고 있다. 내년 총선에서 여당 주자들도 똑같이 '원팀' 프레임으로 표심에 호소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야권에선 여전히 활로를 찾지 못하고 있는 충청권의 경제 침체 상황을 집중 부각하면서 '무능한 민주당 지방정부' 프레임으로 역공을 펴면서 반전을 노릴 것으로 점쳐진다.
차기 총선은 바야흐로 '정치의 해'인 2022년을 향한 여야의 진지구축 대결장이기도 하다. 2022년에는 제20대 대선과 제8회 지방선거가 동시에 열린다.
2022년 양대 선거의 승리를 가져오기 위해선 내년 총선에서 여의도의 의석을 단 1석이라도 더 확보해야 하는 것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 선거와 정치의 '루틴'으로 여겨지는 조직력과 직결되는 사안이기 때문이다. 각종 공직 선거 표심을 좌지우지 하는 요소 가운데 하나인 예산확보를 위해서도 '배지'를 최대한 확보해야 한다.
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