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 이미지 뱅크 |
'자기애'라는 용어는 연못에 비친 자신의 아름다운 얼굴을 너무 사랑하여 연못 속에 몸을 던져 죽었다는 그리스 신화 속의 인물 나르키소스에서 유래합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나르키소스가 사랑한 것은 자기 자신이 아니라 물에 비친 자신의 이미지를 사랑한 것에 있습니다. 자기애성 성격장애를 앓는 사람들이 사랑하는 것은 자기 자신이 아닙니다. 자신이 만든 하나의 완벽한 이미지를 추구하는 것이죠. 그러다 보니 정작 자신은 공허하고 쓸쓸하고 외롭습니다. 자신이 생각하는 완벽한 이미지와 다른 현실을 비난하면서 완벽을 추구합니다. 자신의 모습을 들킬까 봐 더 대단한 것처럼 과장해 보이려고 애를 씁니다. 그들은 조금이라도 자신을 비난하는 것을 견디기 힘들어하고 공격적이 됩니다.
코헛의 자기심리학에서는 자기애를 중심으로 인간의 거의 모든 심리상태를 분석합니다. 어린 시절 엄마가 보내는 따뜻한 눈빛에서 긍정적인 자존감과 자기애가 발달합니다. 생활하면서 겪는 적당한 좌절을 견뎌내는 일 즉,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소중하다'는 지지와 격려, 자기 암시는 자존감 형성의 기본입니다.
백설공주에서 '거울아 거울아 이 세상에서 누가 제일 예쁘지?' 의 왕비가 자기애적 성격장애의 대표적인 인물이죠. 유명한 소설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여주인공 스칼렛이 전형적인 자기애적 장애를 가진 사람입니다. 그 소설을 쓴 작가 마거릿 미첼도 비슷했다고 하죠. 미국의 현 대통령인 도널드 트럼프와 애플의 창립자인 스티브 잡스도 자기애성 성격장애의 유형을 띠고 있습니다.
연꽃은 비록 진흙 속에 몸을 담고 있지만 결코 더렵혀지지 않고 깨끗함을 유지하는 꽃입니다. 연꽃 같은 사람은 나쁜 환경에 처할지라도 휘둘리지 않는 정갈하고 고고한 사람을 말합니다. 오늘은 왠지 은은한 연차 한 잔 마시며 세파에 물들지 않는 맑고 우아하게 사는 삶을 그려봅니다.
김종진 여락인성심리연구소 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