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과 옛모습이 뒤엉켜 있는 소제동 관사촌 일대 모습. |
이에 대전시와 동구청, 한국철도공사, 문화예술단체가 협력해 남아있는 철도관사촌을 실측하고, 정확한 사료로 남기기 위한 작업에 돌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소제동은 행정구역상 대전역 동광장 뒤편에 있다. 대전역 왼편의 정동과 함께 철도 발전사를 써온 역사와 문화적 유산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동네다.
하지만 수년 전만 해도 100여 호에 달했던 관사촌은 9월 기준으로 약 30호만 남아 있다. 전통나래관 앞으로 4차선 도로가 공사 중이고, 삼성 4구역 재개발까지 맞물리면서 지난해부터 수십 채가 허물어진 결과다.
철도관사촌은 이른바 적산 가옥이다. 광복 이후 정부에 귀속됐던 관사촌 일대는 60~70년대 이후 일반인에게 불하(拂下)되면서 개인들이 매입하기 시작했다. 이후 시나 지자체 소유없이 모두 개인의 사유지로 등록돼 있다.
전문가들은 철도관사촌이 사유지였기 때문에 철도관사촌이라는 밀집 촌 형태를 지켜낼 수 없었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철도관사촌 가운데 문화재로 지정된 곳이 없었던 탓에 밀려오는 경제 개발의 속도를 막을 수 없었다는 안타까운 이유도 포함돼 있다.
이희준 대전시문화재전문위원은 "그동안 대전시가 소제동과 관련해 다양한 보존 작업을 추진해 왔으나, 한계에 부딪혔던 것은 사유지였기 때문"이라며 "최근 카페나 음식점으로 리모델링 되고 있는데, 왜 보존해야 하는지에 대한 물음이 없는 상태에서 철도관사촌이 변형되고 있어 안타깝다"고 말했다.
철도관사촌 일대는 빠르면 1년 길게 보더라도 3~4년 후에는 5호도 채 남기 힘들 거라는 시각이 팽배하다. 그렇기 때문에 가장 많은 관사촌이 남아있는 지금이 사료 작업 착수에 적기라는 이야기다.
관사촌은 전수조사마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대전근대아카이브즈포럼의 연구에 따르면 관사촌은 5등급부터 9등급까지 다양한 철도 관리직들이 살았던 것으로 예측된다. 작을수록 고위급의 관사지만 이마저도 정확히 규정이 안됐다. 누가 살았는지, 어떤 형태인지 사실상 모르는 채 허물어지는 순간을 지켜봐야 하는 현실이다.
이희준 위원은 "이제는 조금이라도 예산을 세워서 철도관사촌 전체 모습에 대한 기록을 시작해야 한다. 관사촌의 규모라든지, 누가 살았는지, 실측과 동네 주민의 구술채록을 통해 기록을 남겨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어 "관사촌을 기록하면 그 당시 사람들과 철도공무원들이 어떤 생활을 했는지, 한 시대의 모습까지 재조명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서는 대전시의 의지와 지자체의 협조, 한국철도공사와 소제동 주민, 근대문화를 지키고자 하는 문화인들의 참여는 필수인 셈이다.
문화계 관계자는 "소제동의 현재 모습은 남은 기한이 얼마일지 모르는 시한부다. 최근 철도관사촌 인근으로 카페나 음식점이 들어서면서 핫플레이스로 불리지만, 이는 소제동을 지키기 위한 올바른 방법은 아닐 것"이라며 "시와 지자체가 철도도시 대전을 유지하기 위해서라도 소제동의 현재 모습을 지키기 위한 노력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