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친구는 중학생 때 친해졌고, 다른 친구는 고등학교 동창이다. 그 둘은 대학 동기로 입학해 서로를 알게 됐다. "이렇게 알기도 쉽지 않은데 인연인가봐" 라는 말로 우리는 더 친해졌고 매 학기 수강신청일엔 어김없이 한 곳에 모였다.
원하는 강의를 듣기 위해 시간표를 여러 개 만들어놓고 가능성을 점쳐보기도 하고, 학교 도서관 컴퓨터에서 신청하는 것이 빠른지 PC방에서 신청하는 것이 좋을지 매 학기마다 고민하기도 했다. 휴대폰 시계, 포털사이트 시간 알림 서비스 등을 켜놓고 신청 버튼이 활성화 되는 시간을 놓치지 않기 위해 긴장하며 초를 세던 기억도 생생하다.
우리들 나름 만반의 준비를 갖췄다고 해도 원하는 강의 수강신청에 실패하는 경우도 있었고 듣고 싶은 과목을 선택했으나 시간대를 잘못 조절해 일명 '우주 공강(공강 시간이 3시간 이상일 때)'이 생기기도 했다. 때로는 한 과목을 듣기 위해 학교를 나와야 하는 날도 있었다.
엉망진창 시간표를 보며 "이번 학기도 힘들겠다"고 낙담한 적이 한 두 번이 아니었는데, 이런 학우들의 간절함을 악용하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언제부턴가 강의를 사고파는 '강의 매매'가 학생들 사이에서 성행하기 시작했다. 수강신청일을 비롯해 강의 정정 기간까지 에브리타임 등 소셜미디어와 커뮤니티에는 강의를 사고 판다는 글이 봇물을 이룬다. '강의 매매'는 인기 강의를 수강신청 한 후 학우들에게 판매하는 방식인데, 강의와 담당 교수마다 가격이 다르다. 거래 시간은 주로 새벽에 이루어지며 판매자와 구매자가 특정 날짜, 시간을 정해 판매자는 해당 시간에 수강신청을 취소하고 구매자는 취소된 강의를 신청한다.
일각에서는 학생들의 수요를 충족하지 못해 강의 매매가 이루어진다고 지적하기도 한다. 수강하고 싶은 강의가 적게 열려서 부득이하게 강의를 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일부 아이돌 콘서트에서도 비슷한 방식으로 표 양도가 이루어지는데 최근에는 팬덤 내부에서 '프리미엄 표 거래를 근절하자'는 자정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소속사에서도 불법 거래를 막기 위해 중고장터를 모니터링 하거나 팬들의 신고를 독려하기도 한다. 하지만 현재 대학가에서는 강의매매를 규제할 수 있는 뾰족한 수단이 없다. 학생들만 사용이 가능한 커뮤니티에서 이루어지는 거래가 다수라서 단속을 하기 어렵다. 강의실에 있는 학생들이 돈을 주고 강의를 산 학생인지, 정석대로 신청을 한 학생인지 구분할 수도 없다.
대학들은 '개인 간 거래라 규제가 어렵다'는 이유로 손 놓고 있어서는 안 된다. 학기 말 강의 평가에서 다음 학기에 듣고 싶은 강의를 적어서 낼 수 있도록 하거나 신청 마감이 빠른 과목은 강좌 수를 늘리는 등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김유진 교육문화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