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옥 4층 편집국에 들어서면 입구 오른쪽에 '정론직필'이라는 사훈이 큼지막하게 걸려있다. 68년의 사력이 헛되지 않은 의미 있는 시간이었음을 입증하는 문구다.
왼쪽에는 자료실이 있다. 중도일보의 보물을 품고 있는 곳이다. 이곳에는 50년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중도일보라는 제호라 발간된 모든 신문이 보관돼있다. 연도별로 정리해 제본된 옛 신문들은 그 자체로 귀하디귀하다.
오랜 시간의 힘으로 지면은 누르스름하게 변색이 됐다. 지나온 긴 세월을 느낄 수 있어 오히려 기껍다. 이런 신문들을 들춰보면 당시의 사회상이 생생하다. 영화 속 시간 여행자의 느낌이 이렇지 않을까 싶다.
무작위로 옛 신문을 들춰본다. 단기 4292년 1월 25일 자 1면이다. 지면을 꼼꼼히 둘러봐도 서력 표시가 보이지 않는다. 몇 년도인지 포털 검색을 통해 알아보니 1959년이다. 머리기사 제목은 '장기화될 여야 간 협상'이다. 숫자부터 제목까지 모두 한자투성이다. 본문을 읽어보려 하니 가히 해독수준이다. 한자옥편 사전이 필요하다. 학창시절 정규과목으로 한문을 배운 한자 세대라는 것이 무안하다. 하단 광고는 잡지 사상계가 차지하고 있다. 다른 제본을 들춰본다. 서기 1969년 3월 15일 자 1면이다. 10년이 지나서인지 날짜 표시가 서력에 아라비아 숫자다. '아폴로 9호 귀환'이라는 큼지막한 제목이 보인다. 10일간 달 착륙 예행을 마치고 귀환했다는 내용이었다. 하단은 '갓난아이 사진에 홍역이 돕니다. 라이루겐을 마치세요'라는 의약품 광고였다.
잠시 정독했지만 피곤하다. 세로쓰기와 지면을 가득 채운 한자어. 그리고 여백이 거의 없이 촘촘한 글의 배치 때문이다. <대부분 신문이 현재와 같은 가로쓰기를 한 것은 1990년대부터다>
비교적 최근인 2003년 12월 9일 자를 보니 1면 머리기사가 '행정수도 특별법 건교위 통과'였다. 가로쓰기에 한자도 안 보인다. 2019년 신문과 별반 차이가 없어 가독성이 좋다.
이렇듯 옛날 중도일보를 통하면 그 시대의 정치, 문화, 경제, 스포츠 등 모든 부문의 생활상을 확인할 수 있다. 우리가 조선왕조실록을 통해 조선 시대를 알듯이 말이다.
즉 중도일보는 대전·충청 지역의 역사를 상징하는 정사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이렇듯 이 시대 역사서인 중도일보를 만들어가는 편집자의 한 사람으로 "중도일보가 한국 현대사다"라는 말의 엄중함을 다시 각인한다.
중도일보는 지역민과 함께 영원할 것이다.
이건우 기자 kkan2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