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원기 정치부 기자 |
하루가 멀다고 사망소식이 끊이질 않는다. 사망한 이들은 말이 없다. 그저 성실하게 주어진 업무를 다했을 뿐이다. 4월 동천안목천우체국 집배원이 만성허혈성 심장질환에 의한 급사로 사망했다. 5월엔 공주 우체국에서 청장년 급사증후군으로 30대 집배원이 세상을 등졌다.
6월엔 당진 우체국 집배원이 숨을 거뒀다. 이들 죽음 뒤에 따라다니는 단어는 '과로', '스트레스'다. 성실한 가정의 아버지로, 누구보다 금쪽같은 자식으로 일생을 살아왔다. 그들은 이제 가족 곁에 없다. 그런데 마땅히 받아야 할 산재를 아직도 못 받고 있다. 우정사업본부는 1주당 52시간에서 60시간을 업무한 것을 두고 '과로 위험군'으로 분류하고 있다. 집배원노조가 이들의 실제 노동시간을 파악한 결과 많게는 주당 57시간에 달했고, 기본 50시간이 전재로 깔렸다. 누가 봐도 과로이지 않을까 싶다.
게다가 본인이 하지 않아도 될 업무인 개밥 주기나 이삿짐운반 등 '직장 갑질'도 포함됐다. 공주우체국 집배원인 고인은 업무 외적인 이런 황당한 일을 겪었다고 이들의 법률대리인은 산재신청을 외쳐댔다. 이 집배원은 현장에서 업무가 마무리되지 않자 집으로까지 우편물을 가져와 분류할 정도였다. 정규직의 꿈을 그리며 고된 일도 마다치 않던 그는 그렇게 하늘의 별이 됐다.
동천안목천우체국 집배원은 39년간 단 하루도 연차를 사용하지 못했다. 사용하지 못한 게 아니라 안 했다는 표현이 맞다. 그러다 사망하는 당일 몸의 심상치 않은 기운을 느껴 연차를 처음 사용했으나 끝내 일어나지 못했다.
당진우체국 집배원은 세상에 아내를 두고 먼저 떠났다. 장례식장에서 만난 그의 아내의 눈은 아직도 머릿속에 선명하다. 말라버릴 대로 말라버린 눈동자엔 아직도 남편의 모습이 담겨있을 것만 같았다. 5년간 주말에 만남을 이어오던 토·일요일은 허망함만이 그득할 뿐이다. 세 집배원 사망할 당시 그 어떤 말도 남기지 못했다. 가족이 힘들다는 말을 들으면 더 힘들어질까 가슴앓이와 몸 앓이를 하며 버텨왔던 그들이다.
그러나 산재 신청이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는 건 물음표가 생긴다.
사망에도 슬픔이 그득한데 당연히 받아야 할 산재를 못 받는다니 억장이 무너지지 않겠는가. 이들 가족은 단 하나의 소망이 있다. 다른 집배원은 자신이 겪은 일을 되풀이 되지 않길 간절하게 바라고 있다. 평생의 동반자를 잃은 슬픔을 잠시 억누르고 나지막이 말을 내뱉던 유족의 말이 떠오른다. "남편은 이미 사망해서 떠났지만 다른 집배원은 부디 이런 일을 겪지 않았으면…".
우정사업본부는 이들에게 베풀 수 있는 최대한의 성의를 보였으면 한다. 아주 기본인 산재처리는 물론이요, 남겨진 이들을 보듬을 수 있는 아량을. 방원기 정치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