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영욱 융복합양자과학연구소장 |
박형주 아주대 총장은 '호기심의 생산성'이라는 칼럼에서 '목적지향의 연구'보다 '호기심으로 하는 연구'가 더 효과적이며 평범한 과학자를 노벨상으로 이끈 원동력이 됐다고 했다. 우리나라의 연구원 또는 과학자는 기초, 응용, 산업화 등 여러 단계에서 많은 역할을 수행하고 그에 대한 정부의 연구개발 투자비용도 20조에 이른다. 그래서 연구원들은 투자에 걸 맞는 높은 기대에 '즉각' 부응해야 하는 어려움과 성과에 대한 압박을 받는다. 또 한편으로는 좀 더 뚜렷한 '목표'와 '목적'을 가지라는 주문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연구원들은 하고 싶은 것을 하고 성과에 대한 압박없이 여유롭고 자유로운 집단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연구원들이 좀 더 뚜렷한 목표를 가져야 생산성이 높아지고 더 나은 성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고 단정한다. 하지만 필자가 정작 연구현장에서 부족하다고 느낀 것은 '목적'보다는 '열정'이었다. 단기적인 목표와 정해진 목적이 너무나 뚜렷한 연구 환경에서 호기심과 지적 동기에서 생기는 열정이 자랄 여지가 없었던 것은 아닐까.
'해야 하는 것', '잘 할 수 있는 것', '하고 싶은 것'. 연구원들이 연구주제를 선택할 때 가장 많이 고민하고 논쟁하는 화두다. 셋 중 어느 것을 연구해야 할까. 누구나 이 세 가지가 일치하는 것이 최선이라는 점에 동의한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아 적당한 타협점을 선택하기 마련이고, 현실에서는 결국 '해야 하는 것'이 선택의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되고 만다. 무조건 '하고 싶은 것'을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는 말이 아니다. 다만 우리가 최소한의 균형을 잘 잡고 있는지에 대해 깊이 따져보아야 한다. 우리는 목적과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는 점에는 강박과 같은 집착을 보이지만, 창의나 열정은 개인적이고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치부된다. 창의, 열정, 도전을 강조하는 사람에게는 이른바 학생티를 벗지 못한 유치하고 아마추어적이라는 평가도 서슴치 않는다. '하고 싶은 것'이 열정을 연료삼아 생산성을 높여 결국 '잘 할 수 있는 것'이 된다는 점은 간과하고 마는 것이다.
많은 공포영화에서 호기심 많은 등장인물은 어리석게 표현되고 허무하게 목숨을 잃기도 한다. 하지만 남은 인물들은 그 호기심어린 희생 덕분에 수수께끼와 생존의 열쇠를 알게 된다. 아주 오래 전 우리의 조상들 역시 호기심 때문에 엄청난 대가를 무수히 치렀다. 후손인 우리는 그 대가의 결과로 찬란한 문명을 누리고 있다. 인류가 직면한 시련을 창의적으로 극복한 결과가 바로 지금의 문명인 것이다. 현대의 연구원과 과학자들은 과학과 기술이라는 도구로 문명의 발전에 기여한다. 호기심은 우리의 문명을 발전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현대의 과학자들이 연구주제를 결정할 때 역시 더욱 호기심을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것이 아닐까. 호기심을 자극하는 주제야말로 타인에게 명확하고 본인에게는 열정적인 도전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창의와 열정의 용광로인 호기심의 효용가치는 지금도 유효하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정영욱 융복합양자과학연구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