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들만의 리그'가 존재한다는 점은 충분히 짐작하고 있던 바다. 하지만 소문이나 추측만 무성했을 뿐, 내막을 알진 못했다. 무엇보다 "어느 집안에서 태어났는가가 삶을 결정해 버리는 사회, 끔찍하지 않습니까"라고 했던 사람이다. 그런 조 후보자의 딸이 전형적인 기득권층의 코스를 밟아왔다는 것이 드러났다. 공정과 정의라는 가치를 외쳐온 조국 후보는 정작 자신의 딸에 대한 문제제기에는 '적법하다'는 말로 일축하는 것은 물론 '노력의 결과', '보편적 기회'라는 상대적 박탈감을 느낄 법한 표현도 서슴지 않았다.
조 후보자는 뒤늦게 이러한 문제에 대해 사과했다. "법과 제도를 따랐다 하더라도 그 제도에 접근할 수 없었던 많은 국민과 청년들에게 상처를 줬다"고 밝혔다. 조국 후보자의 장관 임명 여부는 검찰 수사 결과나 국회 인사청문회 등을 거쳐 결정될 일이다. 나는 그의 거취보다도 한국 사회가 고착화된 양극화 문제를 제대로 직시하고 해결해 나갈 수 있을 지가 더 궁금하다. 가난 탈출,경제적 독립, 계층 이동의 유일한 사다리라고 여겼던 교육이라는 희망이 보기 좋게 걷어 차이면서 우리나라 입시제도의 실태를 직시하게 됐다.
집권세력이 국민들이 느끼는 박탈감의 원인을 직시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사회가 정상적으로 돌아가는 힘은 부의 대물림이 아니라 재산이 없더라도 더 노력하면 노력할 수 있다는 믿음이다. 그런데 이번 사태를 계기로 청년들은 열심히 해도 넘을 수 없는 장벽이 있다는 걸 절절히 실감하게 됐다.
한국 입시제도는 물론이고 나아가 견고한 기득권 정치가 개선될 수 있길 바란다. 촛불의 힘에서 봤듯 세상을 바꿀 수 있는 힘이 발휘될 수 있는 건 다름 아닌 정치다. 권력층의 일부 위선적인 면모로 인해 나와 같은 젊은 친구들이 "그럼 그렇지"하며 정치에 대해 자조적인 태도로 돌아서지 않았으면 좋겠다. 청년들은 일자리가 없는 만큼 당장의 먹고 사는 일이 급급해 이에 골똘할 수밖에 없는 게 대다수의 현실이다. 그러나 결국 사회의 체질을 바꾸기 위해선 우리가 주체가 되어 참여하는 게 중요하다. 아무쪼록 우리들의 좌절과 시름이 더 깊어지지 않기만을 바랄 뿐이다. 전유진 편집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