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예술의전당 독립 법인화 방안 정책토론회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전국에 국립 및 특·광역시 공공 공연장은 서울 3곳, 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울산 각 1곳 총 9곳이다. 이 중 재단으로 운영 중인 곳은 4곳이다.
서울 예술의전당은 1988년 개관했고 1987년 1월 27일 특수법인으로 재단이 설립됐다. 1987년 개관한 세종문화회관은 1999년 7월 1일 재단법인이 설립됐다. 공공 공연장 중 가장 먼저 문을 연 국립중앙극장은 1973년 개관 후 29년만인 2012년 1월 1일 책임운영 체제가 됐다. 부산문화회관은 가장 최근인 2017년 재단법인으로 설립됐다.
대전예술의전당(대전예당)은 2003년 가장 늦게 문을 열었고 현재까지는 시 사업소로 운영되고 있다. 대전예당의 재단 법인화에 대한 필요성은 10년 전부터 지속적으로 제기돼왔다. 재정 자립도가 현저히 낮고 임기제 공무원의 비율이 높아 효율적인 공연 기획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문화기관의 법인화 과정에서 지적되는 문제점은 '공공성의 저해'다. 재정자립도를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공공성이 저해될 수 있다는 우려다.
여기에 예산 삭감, 활동 위축도 문제이나 이는 타 시도 사례를 살펴본다면 이는 기우라는 전문가들의 이야기다.
서울시립교향악단은 과거에 비해 예산지원이 늘어 예술적 역량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관객의 호응이 높아지는 등 경영성과가 좋아졌다는 평가다. 서울에 있는 7개 국립공연장이나 지역 법인 체제 공공극장도 법인화로 인한 공공성이 저해에 대한 불안적 요소는 사실상 없다.
예술의전당은 설립 초기부터 상주단체를 두지 않는 시스템으로 운영하며 국내외 우수 단체 공연 유치로 공연의 질을 높여왔다. 작가·연출가를 선정해 작업을 일임하고 제작 전체를 책임지게 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다목적홀을 탈피해 클래식 음악 전용공간 등 공간의 전문성을 높였다. 창작 오페라를 비롯해 입문용 오페라 등 자체 제작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관 이후 총 5089만2302명 방문이라는 실적을 거뒀다.
대전예당의 경우 1년 동안 관객 수는 대략 2만5000명이고, 개관 당시 155개 작품으로 약 21만 명을 동원한 이력이 있다. 향후 재정자립도를 확보하고 안정적인 고용 형태가 된다면 법인화를 발판으로 지역 문화예술계도 시너지 효과를 낼 것이라는 기대감도 있다.
다만, 법인화 추진 과정에서 예당 소속 직원들의 고용 문제나 재정적 자립 문제는 반드시 넘어야 할 산이다.
대전예당 내에서는 "법인화 논의보다는 임기제 등 고용 불안 속에서 일하는 고용 문제부터 푸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유진 기자 1226yuji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