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대전시의회에서 열린 대전예술의 전당 독립 법인화 방안 정책토론회가 열렸다. |
21일 대전시의회 조성칠(더민주/중구1) 시의원 주관으로 '대전예술의전당 독립 법인화 방안 정책토론회'가 21일 대전시의회에서 개최됐다.
전문가들은 대전예당이 시 사업소에서 법인화로 변경되더라도 예술적 공공성을 잃지 말고 시민을 위한 예술적 향유에 더욱 매진해야 하고, 재정자립도와 고용 문제를 잘 풀어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용관 재단법인 부산문화회관 대표이사는 "대전예당은 괄목할 성과를 내고 있지만, 한계에 봉착한 지 오래다. 무엇보다 조직력의 성장이 멈췄다는 점이 문제"라고 꼬집었다. 이어 "대전예당 법인화는 직원들의 신분과 조직의 불안정성을 해소하고 조직과 성과 발전 측면에서도 절실하다"고 당위성을 설명했다.
태승진 예술의전당 경영본부장은 특별법인으로 운영되고 있는 예당의 성취와 과제 사례로 제언했다.
태 본부장은 "설립단계부터 상주단체를 두지 않고 국내외 단체와 협업 및 우수단체의 공연 유치를 중점을 뒀다"며 "다목적홀을 탈피해 클래식음악전용, 오페라발레, 미술관, 박물관을 각각 건립해 장르 간 융합과 통섭을 유인하며 관람객 수가 꾸준히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책임운영기관으로 국내외 예술기관 대비 매우 적은 국고보조금을 확대, 유료회원 판매, 공연투자 펀드유치, 크라우드 펀딩, 후원회 등 재정 확충 측면에서는 부단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시 사업소에서 재단으로 조직이 바뀔 때 조직과 인력의 축소, 고용 미승계에 대한 불안은 대전예당이 당면한 과제로 꼽힌다.
김상균 대전예술의전당 관장은 "예당은 2과 7팀 48명 정원으로 승인 받았는데, 여기부터 전문성을 이어가기 어려운 조직으로 출발했다"며 "공연장의 브레인이라 할 수 있는 공연기획과, 무대예술과는 임기제로 5년마다 외부 사람과 동등한 자격으로 공채를 거쳐야 한다"며 조직적 어려움과 한계, 불안해하는 조직의 분위기를 전했다.
대전시는 법인화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는 분위기다. 그러나 법인화 위험성과 시민 혈세 낭비로 전락할 수도 있다는 우려 속에서 신중한 접근으로 가겠다는 의지다.
문주연 대전시 문화예술정책과장은 "용역 및 시민여론 수렴 과정을 거쳐 장기적인 안목으로 시민과 직원의 만족도가 높은 방향으로 운영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복영환 대전연극협회장은 "대전예당 법인화와 관련해 시가 전폭적으로 지원해 줄 것인가, 또 지역 예술단체와 어떤 협약을 통해서 재정자립도를 높일 수 있는지부터 깊은 논의가 있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전정임 충남대 예술대학 음악과 교수는 "중앙과 지역 예술정책과 경영의 차이를 확인하고, 또 소속 예술단체와 협업 또는 시너지를 구축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조성칠 시의원은 "대전예당 법인화는 10년 전부터 예술계의 뜨거운 화두였다. 오늘은 첫 공론화 자리였다. 법인화를 했을 때 어떤 문제와 잇점이 있는지 살펴봤다"며 "법인화 공론화의 출발점은 관 주도의 예술기관에서 탈피하자는 것이다. 현재는 예산이나 인사 등 모두 관주도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현실이다. 법인화가 돼야만 예술이 시민에게 더욱 다가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