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원 교수 |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규제가 한국의 반도체 산업에 동기부여와 자립의 기반을 제공하는 단초가 되고 있다. 전체 반도체에 사용하는 소재의 40% 정도를 국산화하고 있다고 한다. 핵심 장비와 소재를 대부분 독일, 미국, 일본에서 들여오고 있지만, 이 생태계 사슬의 상단에는 우리 기업들이 있다.
일본의 경제성장률은 2017년 1.9%에서 2018년 0.7%로 급락했고 2020년에는 0.2%로 예상되며 일본을 찾는 한국 관광객이 줄어들면 성장률이 0.1%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둔화 우려에도, 올해 10월에는 소비세율을 8%에서 10%로 인상하려고 준비하고 있고 관광세를 징수하겠다고 한다.
한국전쟁으로 부를 쌓아 전 세계에서 가장 낮은 국가 부채비율을 기록했던 일본은 현재 국내총생산 대비 부채비율이 220%대에 이르고 있으니 우리 기업들이 미래의 기술이라고 여기는 극자외선을 사용한 비메모리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소재들을 규제하고 나선 사실과 개헌을 해야만 하는 일본의 상황이 얼마나 어려운지 알 수 있다.
일본은 소총을 가지고 조선을 침략했고 서양의 문물을 일찍 받아들여 중국과 러시아와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한국을 강제로 합병했다. 고도의 기초과학 기술은 상대를 제압하는 강력한 무기가 됐고, 현시대에도 공학기술의 힘을 바탕으로 상대 무역국을 압도하고 있다. 100여 년 전부터 기술개발을 해왔던 일본과 비교해 한국은 1인당 국민소득은 상위권의 위치에 올라왔다. 늦은 근대화와 한국전쟁을 겪었던 나라에서 일본을 위협하는 나라로 발전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한국을 먹여 살릴 미래기술로는 바이오, 항공, 로봇, 4차산업 관련 분야 등을 꼽고 있다. 저출산·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제약·바이오산업은 전 세계 시장 규모가 자동차와 반도체 시장보다 크다고 평가받고 있다.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생물, 미생물, 화학, 농수산, 의료기기 등 융·복합 산업의 특성상 오래 시간을 요구하는 연구개발이 필요하기 때문에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다. 정부는 2018년부터 '제2차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지원 5개년 종합계획'을 시행해 산학연 연구개발을 활성화하고 생산규모 50조원에 이르는 강국 도약이라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합성의약품은 화학의약품으로 식사 후에 30분 안에 먹는 약이 일반적이다. 기초화학이 발달한 일본에서부터 유래한 합성의약품은 오랫동안 한국에서 많이 판매되고 있고 심지어는 약효가 없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국산화된 상품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일본에서 사는 동전파스 같은 단골 상품도 있다.
이에 비해 바이오의약품은 주로 주사제로 사용되는 단백질 의약품이며, 한국기업들은 특허가 만료된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을 대체하기 위한 바이오시밀러(복제의약품) 국산화가 주된 연구개발 방향이 됐다. 고도의 기술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바이오의약품 매출은 대부분 미국과 유럽 회사들이 차지하고 있지만, 최초의 바이오시밀러 의약품을 개발한 한국 업체의 유럽 점유율은 60%에 이르고 있다. 이제는 새로운 개량 신약을 개발하고 있고 바이오의약품 시장에서 일본보다 우위에 있는 산업으로 여겨지며 한국기업의 선전이 기대되고 있다.
특정 집단에 대한 소속감을 공유하게 되면 상대에 대한 인식은 그들과의 상호작용에 따라 달라진다. 역사적 이유이든, 경제적 패권 때문이든 적대감은 집단 내 사람들의 의식과 행동에 의해 왜곡될 수도 있지만, 이러한 부작용은 한 집단이 가진 자긍심으로 해결할 수 있다.
우리는 조금 더 긍정적인 방법으로 스스로를 바라보고 적대감을 가진 집단으로부터 더 배울 수 있는 분야를 점검하고 손해를 감당할 수 있는 시간까지 여유 있게 바라볼 수 있는 자긍심이 필요해 보인다.
이준원 배재대 바이오·의생명공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