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강신구 서울시립극단 단원, 조강숙 대전소셜미디어기자단, 류용태 대전문화원연합회 사무처장, 유치벽 전 대전연극협회장, 선욱현 전 강원도립극단 예술감독, 김상열 대전대 교수, 윤진영 대전연극인협회원, 백훈기 목원대 교수, 이상호 대전민예총 회원. |
기본 틀이 될 단원중심제와 작품중심제를 두고 연극계의 이견은 여전했으나, 대전을 위한 레퍼토리 개발, 기존 극단과의 상생, 연극 전용극장 필요성에 대한 화두가 제시되면서 서두르지 않되, 다양한 의견을 수렴키로 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강원도립극단과 서울시립극단 창설과 정착 과정을 반면교사 삼을 수 있는 사례가 제시됐다.
선욱현 전 강원도립극단 예술감독은 "왜 세금으로 운영하는 극단이 필요한가에 대한 고민을 해보라. 필요한 이유를 마련해야만 시민적 합의를 통한 공익적인 부분을 채울 수 있다"고 설립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요구했다.
이어 "도립극단이기 때문에 강원도 지역의 특수한 콘텐츠 문화를 만들겠다는 것에 목표를 맞췄다. 도립극단은 레퍼토리 공연을 정착시키고 싶었다"며 "대전시극단도 시민이 사랑할 수 있고 인정할 수 있는 레퍼토리 작품을 만드는 것에 중점을 맞춰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강신구 서울시립극단 단원은 "시립극단은 창설 과정에서 연극인 주도의 민주적인 방식으로 극단 설치가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를 냈다"며 "공공성, 예술성, 대중성을 가진 연극, 생활에 뿌리를 둔 연극, 역사의식이 투영된 연극 등 시민연극의 의미는 서울시극단 레퍼토리 선정 원칙이 됐다"고 말했다.
강 단원은 "서울시극단 창단 과정은 매우 험난했다. 하나의 단체가 탄생하는데 여러 사람의 의견과 동의가 필요하다. 어려운 여건에도 필요하다면 극복하고 결실을 맺어야 한다"고 대전시극단 설립에 힘을 실었다.
대전에서 활동하는 연극인들은 조금 더 현실적인 문제점부터 해결하며 설립의 방향을 잡아갈 것을 요구했다.
유치벽 전 대전연극협회장은 "대전의 모든 예술단은 80년대 설립됐다. 왜 연극만 창단이 되지 않았는가 생각해본다면 연극인의 역량이 없었다는 뜻"이라며 "하지만 최근 대전연극은 괄목할 만한 성장을 하고 있다. 24개 극단이 1년에 54개 작품을 무대에 올리며 열망적 생산을 하고 있다. 시도, 시민들도 예술인들도 대전연극계 발전을 위한 시립극단 설립에 공감할 것"이라고 했다.
유 전 회장은 "대전시립극단은 작품공모제로 가야 한다. 단원중심제는 단원에게 맞는 작품만 하게 돼 동기부여를 할 수 없다"며 "기존 연극계를 파괴하지 않도록 MOU를 통해 꾸준히 교류하며 질 높은 시립극단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상호 대전민예총 회원은 단원중심제나 작품중심제가 아닌 제3의 길을 주장했다.
이 회원은 "단원과 작품중심제로 운영되는 극단이 있는데 이는 우리의 대안이 아니다. 민간극단과 소속단원들이 시립극단의 비상임 단원으로 들어가 시립극단 작품과 민간극단 작품을 순환적으로 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며 "지역극단이 생존하지 않으면 시립극단도 발전할 수 없다. 인적 네트워크로 시극단과 민간극단이 공존해야만 가능하다. 단원과 작품중심제 이분법적인 형태에서 벗어나자"고 강조했다.
진행을 맡은 김상열 대전대 교수는 "세 번의 공청회 동안 답은 없지만 고민해야 할 문제는 다 나왔다. 이제 시가 공청회를 바탕으로 하나의 안을 내놔야 한다. 이제는 좁혀진 그 틀 안에서 무엇을 버리고, 무엇을 잡고 가야 하는지 구체적인 논의를 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