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도탄이란 내·외부 장치를 통해 속도와 방향을 수정하며 정확히 목표물을 타격하는 무기를 뜻한다. 타격 목표에 따라 육상의 무기체계나 주요 시설물을 목표물로 하는 대지 유도탄, 해상의 적 함정을 목표물로 하는 대함 유도탄, 공중의 적 항공기나 유도탄을 목표로 하는 대공 유도탄 등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도탄을 개발하여 우리 군(軍)이 안전하게 운용하기 위해서는 개발 단계의 시험이 필수적이다.
국방과학연구소는 유도탄을 개발 할 때 안전프로세스에 따라 시험을 실시한다. 먼저 준비 단계에서는 발사 방향과 타격 목표물을 정한 이후 유도탄의 상태 점검을 종합적으로 거쳐 정상적인 컨디션으로 확정이 되었을 경우에만 발사대기 상태에 들어서게 된다. 안전한 발사시험을 위해 시험 실시 전 유도탄 발사시험 구역에 있는 조업어선과 이동선박에 대한 충분한 사전 공지는 필수적이다. 이때 해군과 해경, 지자체의 협조를 구하는 것은 물론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상상황을 상시 대비하여 해상탐지레이더와 선박을 활용하여 육안으로 모든 지형을 최종적으로 모니터링 한다.
발사된 유도탄은 일정시간 동안 안전구역을 비행한 후 해상이나 공중의 목표물을 맞히게 된다. 만약 유도탄이 목표물을 상실하거나 부품에 이상이 있어 비정상적인 비행을 할 경우에 스스로 자폭하게 되며 레이더 등 육상의 통신장비들과 정해진 시간동안 통신이 두절 될 경우에도 자폭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유도탄이 안전구역을 벗어날 우려가 있는 비정상 비행이라고 판단될 때에는 외부에서 UHF(Ultra-High Frequency, 극초단파)와 레이더 신호로 강제적으로 비상 폭파시키는 안전장치가 있다.
비행 시험이 진행 중일 때는 비행안전판단시스템으로 실시간 모니터링 한다. 또한 유도탄 개발시험의 경우는 안전을 위하여 비활성탄(폭약이 제거된 탄두)을 사용한다. 유도탄이 정상적으로 목표물에 도달하고 난 후에는 레이더, 광학, CCTV 및 원격측정 신호 등 2중, 3중으로 치밀하고 꼼꼼히 안전을 확인하게 된다.
최근에는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법으로 조업 선박 분포와 이동경로를 예측하여 유도탄 발사시험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 결과 조업선박수가 적은 날과 시간대를 파악하여 유도탄 시험 계획수립에 반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통제시간, 통제구역 및 통제선박을 줄이는데 집중할 수 있고, 조업선박에 대한 안전을 확보하여 민간의 조업활동에 불편함이 없도록 만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안전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한다. 2020년이면 창설 50주년을 맞이하는 국방과학연구소는 국가와 국민의 안전을 위해 각 군(軍), 해경, 지자체 등 유관기관과 긴밀하게 협조하고 첨단 해상탐지레이더, 안전통제용 선박, 비행안전판단시스템의 운용, 안전절차 준수 및 해상 선박분포연구 등 내부 안전프로세스를 구축하여 안전한 유도탄 발사시험을 위해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 강한 안보는 이 모든 과정들이 수반될 때 비로소 가능한 것이며, 이것이 곧 우리 국방을 우리 과학으로 지킬 수 있는 힘이 아닐까 생각한다.
백상화 국방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