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희진 부장 |
백과사전에는 ‘솔’과 ‘솔나무’, ‘소오리 나무’를 모두 소나무로 쓴다. 한반도를 비롯해 중국 북동부와 일본 등에 주로 많다. 3국의 질기고 질긴 인연으로 뿌리를 내린 나무가 아닐까 한다.
하늘로 시원하게 뻗으면 높이 35m에 달하고 지름도 2m에 육박한다. 바늘처럼 생긴 잎은 2개씩 있으며 줄기는 단단하다. 송진이 들어 있어 잘 썩지 않으며 깊은 향이 배어 있다.
5월에 꽃이 피는데, 노란색인 수꽃이 먼저 핀 후에 자주색의 암꽃이 자태를 드러낸다. 꽃이 만발하면 온 세상은 노란 꽃가루(송화)로 뒤덮인다. 열매는 알다시피, 솔방울이다. 겨울에도 가지에 매달려 있을 정도지만, 색깔은 붉은 갈색에서 검은 갈색으로 바뀐다.
쓰임새도 다양하다.
당뇨를 비롯해 산후풍, 신경통, 소화불량, 골다공증, 종기, 고혈압, 두통 등을 완화하는 데 좋다고 해서 약용으로도 많이 쓰인다. 물론, 차(茶)나 술, 그리고 식초, 다식 등에도 빠질 수 없다. 송진은 고약의 원료이기도 하다.
생김새에 따라 다른 생(生)을 살기도 한다.
보면서 즐기는 위한 관상용을 비롯해 정자목(亭子木), 신목(神木), 당산목(堂山木)처럼 보호받는 특별한 ‘숙명’을 가진 소나무가 있다. 하늘로 곧게 뻗은 소나무는 가구나 건축, 선박, 차량, 악기 등 인간의 도구로 이용되기도 한다.
소나무 중에 가장 볼품없고 인기가 없는 건 ‘등 굽은 소나무’다.
말 그대로, 잘 생기도 못하고 곧게 뻗지도 못해 인간에게 외면받는 소나무다. 산(山)에서 태어나 산에서 생을 접는 소나무 대부분은 등이 굽은 야산의 소나무다.
비록 볼품없고 흔하지만, 오랫동안 한반도의 산을 지켜온 건, 등 굽은 소나무들이다. 능력 있고, 잘난 수많은 소나무가 떠났지만, 묵묵히 땅을 지탱해왔다. 숱한 고난과 풍파에도 등 굽은 소나무들은 서로를 의지하며 어려움을 극복해왔다.
인류가 태동한 이후 한겨레가 한반도를 지켜오고 지탱해온 것과 마찬가지다. 지금은 중국땅이 된 요동과 요하, 간도는 물론 러시아 연해주까지 잃을 정도로 시련의 역사였지만, 그 땅에 발을 딛고 사는 사람은 한(韓)민족이다.
고구려와 신라, 백제 혹은 그 이전부터 고려, 조선, 대한제국, 대한민국 등 이름은 달라졌지만, 이 땅에 뿌리를 내리고 사는 이들은 한민족이다. 바로, 내세울 것 없는 민초(民草)이다.
잃을 게 많은 숱한 귀족과 인텔리들은 명분과 대세를 내세우면서 무릎을 꿇었지만, 내세울 것 없는 민초는 꿋꿋이 땅을 지켜왔다. 그래서 민들레와 같은 잡초가 무섭다. 밟고 밟아도 살아나고 뽑고 뽑아도 이듬해 새싹이 돋기 때문이다.
‘경제왜란’이라고 한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일제강점기에 이어 네 번째다. 일본이 한반도를 짓밟던 혼돈의 시기, 그때마다 사익을 얻기 위해 '백성', '국민'을 남발하며 항일을 막아선 세력들이 있었다.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로 촉발된 지금도, 화살을 내부로 겨누고 있는 이들이 있다. 국난 때마다 맞서 싸우지 않고 항상 무릎을 꿇어왔던 과거의 그들과 달라 보이지 않는다.
그래도 문제는 없다. 언제나 그랬듯이 민초가 나라를 지켜왔기 때문이다. 등 굽은 소나무처럼 말이다.
윤희진 경제사회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