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들이 벌이는 가장 추악하고 잔인한 밑바닥까지 들여다보게 하는 전쟁은 지구상에 인류가 등장한 이래 단 한 번도 사라진 적이 없다. 그런데 남성들을 위한 전쟁에서 정작 피해자는 여성의 몫이다.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 수많은 여성들이 죽어가고 강간당하고 있을 것이다. 보스니아 내전 때 세르비아 군인들이 이슬람 여성들을 집단으로 강간한 사실은 세계적으로 큰 주목을 받았다. 허나 아랍의 봄 이후 중동 국가에서 외신 기자와 자국민 여성이 성폭행 당하고 시리아 여성들이 참혹한 상황에 처했지만 전쟁이라는 거대 담론에 파묻혀버렸다. 전쟁으로 인한 여성의 고통을 상징적으로 보여준 사진이 있다. 1985년 내셔널지오그래픽 표지 사진을 장식한 아프간 소녀를 기억하는가. 초록빛이 감도는 옅은 파란색의 눈동자가 공포에 질린 듯한 강열한 눈빛의 소녀 말이다. 그러나 이 사진 역시 탈레반 정권하에서 아프간 여성의 비참한 삶을 웅변하기보다는 분쟁국의 아름다운 한 소녀로만 소비됐다.
여기, 이방인에게 유린당한 베트남 소녀가 있다. 소녀는 피와 유령으로 정지된 공간에 원한의 씨앗을 뿌렸다. '손에 피를 묻힌 자는 돌아가지 못할 것이다.' 영화 '알 포인트'는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국의 용병으로 베트남에 파견된 한국군의 비극적 말로를 그렸다. 영화에서 군인들은 알 포인트에서 보이지 않는 무언가와 싸운다. 그것은 자신들이 살해한 누군가의 유령이기도 하고 자기 자신이기도 하다. 명분없는 더러운 전쟁에 발을 들인 그들 역시 전쟁의 협력자이고 가해자다. 피해에 익숙한 우리가 가해자가 됐다는 것은 무척 낯설다. 1964년 한국은 베트남 전쟁에 미국 다음으로 대규모로 파병했다. '월남 해방'과 '자유 수호'라는 화려한 명분으로 한국군은 열대의 밀림에서 양민을 잔혹하게 학살하고 여인들을 집단으로 윤간했다. 베트남 마을 곳곳엔 지금도 증오비가 있다고 한다. 한국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을 증언하기 위해서다.
벨라루스의 기자 출신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는 남성들에 의한, 남성들의 전쟁을 여성들의 전쟁으로 이야기했다. 2차대전 당시 소련과 독일이 치른 전쟁을 겪은 소련 측 여성 200여명에 관한 얘기다. 여성이 겪고, 여성이 목격한, 여성의 목소리로 들려준 여성들의 전쟁. 여성들도 빨치산으로 혹은 총칼 들고 전장에서 싸웠다. 하지만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는 여성들의 숭고한 이상이나 승리, 영웅 따위를 말하지 않는다. 전쟁이라는 가혹한 운명 앞에 선 보통 사람들의 얘기를 들려줄 뿐이다. 승패에만 열을 올리던 남성들의 전쟁은 여성들이 입을 열자 쓰디 쓴 위액이 쏟아져 나왔다. 일본제국주의가 조선여인들을 강간하고 학살하듯 한국군이 베트남 여성을 '한 끼 밥'으로 취급하면서 전쟁 범죄를 저지른 것도 목소리를 내야 한다. 한국 정부는 지금까지 과거의 잘못에 대한 공식조사나 보상도 없이 침묵하고 있다. 알 포인트의 역사적 상흔은 일제 강점기 조선의 장면과 겹친다. 이제는 말해야 한다. 한국도 가해자라는 사실을.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