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지난 12일 한국 정부는 일본을 백색국가에서 제외한다는 수출입 고시안을 발표했다. 일본이 한국을 백색국가에서 제외한다는 개정안을 공포한지 한 달 만이다. 이처럼 한국과 일본은 백색카드를 주고받으며 걷잡을 수 없는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일본은 그 옛날부터 지금까지 비열한 작태만 보이는구나' 작금의 상황에 대한 한탄이 절로 나왔다. 광복절을 하루 앞두고 지난 역사를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었다.
광복절의 사전적 의미는 1945년 8월 15일 우리나라가 일제의 식민통치로부터 벗어나 자주독립을 되찾은 날이다. 광복이라는 단어 자체는 '빛을 되찾는다'는 뜻이지만 나라를 빼앗기고 일본에게 식민지 통치를 받은 치욕이 있는 한국인들은 그 시기를 암흑으로 생각했다. 또한 넓게는 우리가 일제에 의해 강제로 행해진 식민지화 과정에 대한 반발로서 발생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광복이라는 말은 논리적인 개념으로 정립되어온 어휘라기 보단 국권을 회복했다는 비유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오죽했으면 식민지 치하의 시기를 '암흑'으로 표현했겠는가.
30여 년 간의 식민지 통치는 한국 사회를 완전히 파괴시켰다. 제2차 세계대전이 종말 단계에 접어들자 일본은 한반도를 전쟁수행을 위한 인적·물적 동원과 수탈지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1942년 당시 한국의 인구는 2552만 명이었으나 국내에서 일본군에 각종 명목으로 징용된 사람만 약 414만 명에 이르렀다.
일본의 식량 공출도 가혹하게 일어났다. 그로 인해 한국엔 극도의 식량부족 현상이 나타났고 절반이 넘는 농민들이 초근목피(草根木皮)로 생명을 유지해야 할 정도였다. 학교의 학생들은 근로 동원으로 고혈까지 빨리고 있었다.
그리고 이런 최악의 상황에서도 굴복하지 않고 나라를 되찾기 위해 애쓴 사람들이 있었다. 3·1 운동 이후 고조되던 항일 열기를 이어 일제와 무력으로 싸우려는 분위기가 만주 지역에 확산되고 민족 지도자들은 일제의 손길이 덜 미치는 간도와 연해주 등지로 터를 옮겼다. 그 곳에서 홍범도, 김좌진 장군 등은 부대를 조직하고 압록강과 두만강을 건너와 일본군을 공격하는 등 맹렬한 기세로 독립 운동을 펼쳤다. 그러나 현재, 수많은 사람들이 흘린 피와 땀과 눈물은 제대로 보상받지 못하고 있다. 독립 유공자와 그 후손에 대한 지원은 매우 미비하며 아베에 사과하라는 둥 망언을 하는 친일파들이 득실득실하다. 뿐만 아니라 위안부, 강제징용 등 일제와 관련된 가슴 아픈 역사의 상흔도 여전히 아물지 않은 상태다.
내일은 광복 74주년을 맞는 날이다. 공휴일 다음날이 금요일이라 징검다리 휴가로 설레는 이들도 많겠지만 시국이 시국인 만큼 잠깐의 시간이라도 투자해 광복절의 의미를 되새기는 날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최고은 기자 yeonha615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