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사생활로 곤혹스러웠을 어느 연예인의 뉴스에 댓글이 달렸다. 손절한다고 했으니 얼굴을 보고 싶지 않음은 물론 그가 부른 노래도 더는 듣고 싶지 않다는 말이겠다. 수십 년간 응원해 온 마음을 하루 만에 끊어버리겠다고 말할 만큼, 누군가에게 그의 죄는 참을 수 없이 무거웠다.
어감에서 느껴지듯 단호하게 끊어버리겠다는 결심을 표현하는 '손절'은 원래 주식에서 사용하는 '손절매(損絶賣)'에서 나온 단어다. 시장에서 매입한 주식의 주가가 기대와 다르게 떨어졌을 때 차라리 어느 정도의 손해를 감수하고 매도하겠다는 뜻이다. 지금은 금융권을 넘어 인연을 끊는다는 의미로 영역을 넓혔다. 자신에게 금전이나 명예, 심리적인 관점에서 손해를 끼치는 사람과 연을 끊는다는 의미다. 더 큰 손해나 상처를 차단하겠다는 계산도 들어있다. 손을 끊어버린다(切)는 뜻으로 잘못 아는 경우도 있는데, 의미는 비슷한데다 오히려 강렬하기까지 하다.
손절의 대상은 문학에도 있었다. 지난해 미투 이후 고은의 시 '그 꽃', 이윤택의 희곡 '오구-죽음의 형식' 오태식의 희곡 '춘풍의 처' 등의 작품이 교육부 검인정교과서에서 퇴출 결정됐다. 학생들에게 읽게 할 만큼 가치를 인정받았던 작품들은 창조자를 향한 도덕적 잣대에서 비켜가기 어려웠다. 교육계의 손절이다.
'손해를 보더라도 끊겠다'는 마음에는 씁쓸하고 축축한 상처가 느껴진다. 주식이었다면 가치가 오를 것으로 믿고 산 우량주나 기대주였을 것이다. 작가, 연예인이나 친구였다면 좋아하는 마음으로 떠올리며 미소 지은 적 있는 상대였을 것이다. 그 가치나 마음이 한 순간에 바닥으로 떨어지는 일이 생기고, 다시는 연결되지 않겠다고 결심하게 된다. '손절'의 마지막 자음 'ㄹ'을 발음하는 혀끝에 비릿한 배신감이 맴돈다.
아이러니한 일이지만 상대에게 손절당한 사람도 같은 마음을 갖는다. 손절 당한 걸 알게 됐을 때의 절망감은 방어의 촉수를 세우게 한다. 자기 잘못의 크기를 가늠해 보거나, 좋아한다더니 이해의 폭이 이 정도 밖에 되지 않느냐며 원망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어떤 일을 저질러도 나를 버리지 않는 사람이 진정한 친구나 가족, 팬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때로는 누가 손절했고 손절 당했는지도 불명확하다. 견고하다고 믿었던 친분이 느닷없이 달라져 있을 때, 그 간극을 견디기 어려운 쪽이 손절을 감행한다. 더 이상 슬프고 싶지 않아서다.
대한민국은 일본 경제와 손절 중이다.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에 맞서 민간에서는 일본상품 불매운동을 벌이고 있다. 정부는 반도체 등 6대 분야 100개 품목을 5년 안에 안정적으로 국산화하겠다고 밝혔다. 당장 우리 기업에 많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그러나 이 손해를 감수하고 일본 산업에 대한 불필요한 의존을 끊어내고 나면 한국 경제 생태계는 이전보다 튼튼해질 것이다.
애초에 일본 정부가 강제징용 배상과 관련된 책임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일어난 경제 손절이다. 한동안의 경제적 손해가 우려돼 아베 정부가 원하는 대로 끌려간다면 강제 징용 피해자 분들의 상처는 영원히 아물 수 없게 된다. 반성도 없이, '이미 저지른 죄'라는 거래 불가능한 대상을 가지고 역사를 저울질하려는 시도 역시 수없이 반복될 것이다. 이 손절에는 절망할 것도, 슬플 것도 없다. 우리에게 일본 아베 정부의 죄는 용서할 수 없이 무겁다.
박새롬 기자 onoin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