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 이미지 뱅크 |
그러나 기본적으로 안경은 사물을 잘 보기 위한 도구입니다. 시력이 나빠 사물에 대한 인식과 식별을 잘 하지 못하면 정말 불편합니다. 워낙 시력이 나쁜 탓도 있지만, 가끔은 이렇게 시력이 점점 나빠지다가 결국에는 시력을 잃게 되는 것은 아닌가라는 걱정이 들기도 합니다. 만약 시력을 잃게 되는 것은 다른 어떤 신체적인 장애보다도 힘들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아마도 이런 생각이 드는 것은 유학시절 안경을 깨뜨려 약 2주일 정도를 안경 없이 너무도 불편하게 지낸 경험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런 경험 때문에 지금은 새롭게 안경을 할 때 반드시 2개를 맞춰서 하나는 예비용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혹시 길거리에서 시각이 불편한 분들을 만나게 되면 반드시 그 분을 먼저 배려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시각을 통해 사물을 보고 무엇인가를 인지할 수 있다는 것은 정말 행운입니다. 인체의 신비에 대해 늘 놀라고 있지만, 그중에서도 무엇인가를 보고 인지할 수 있다는 것은 정말 신비 그 자체입니다. 만약 우리가 눈이 없고 보지 못한다고 한다면, 아마도 인간이 사는 세상은 지금과는 완전히 다른 세상이 되었을 것입니다. 느낌이나 감각, 촉각, 미각 등 우리가 어떤 것을 인지하고 느끼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그러나 시각을 통해 사물을 보고 느끼고 인지하는 것은 그 어떤 인지적 장치보다도 우선하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일단 무엇인가를 보는 것으로부터 정확하지는 않지만 대부분 많은 것을 보는 것 자체로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오래전에 시각을 통해 얻는 정보와 판단의 정도가 인간이 판단하는 것의 대부분이라는 분석을 읽은 적이 있습니다. 그 글은 정확한 통계 수치와 분석의 결과는 기억나지 않지만, 시각을 통해 얻는 첫인상과 인식이 판단의 절반이상이 된다는 것과 물론 그에 대한 오류 또한 적지 않다는 것을 지적한 글입니다.
과학적인 분석의 결과는 물론 중요합니다. 그러나 어떤 과학적인 분석이 아니더라도 우리는 이미 '보는 것'을 통해 많은 지식을 얻고 인식과 판단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어떤 사물이나 상황을 볼 때, '정확히 보는 것'을 가장 우선으로 꼽고 있습니다. 사실 어떤 사물이나 상황을 정확히 보지 못하고 잘못 본다고 하면, 아마도 그로 인해 우리는 많은 것들을 오해하고 판단을 그르치고 또 왜곡되거나 잘못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우를 범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일을 잘하고 능력이 있음을 인정받기 위해서 우리는 우선 사물이나 상황에 대하여 '정확히 보기'를 강조하고 있고, 정확히 보려는 노력을 경주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정확히 보는 것'은 정말 중요합니다.
그러나 만약 '정확히 보는 것'이 객관적인 입장이나 관점이 아니라 자신의 주관적 관점에 의한 것이라고 한다면, 아마도 그것은 '정확히 보는 것'이 아닐 수도 있을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자신은 '정확히 보는 것'이라고 주장할 수 있으나, 객관적인 관점에서 보면 그것은 객관적으로 그리고 누구나가 인정할 수 있는 '정확한 것'이 아닐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자신의 관점에서 그리고 객관적인 관점에서도 '정확히 보는 것'이라는 것도, 비록 다른 사람들이 객관적이라고 인정한다고 할지라도 자신이 아닌 상대방의 입장에서 보면 그것은 '정확히 보는 것'이라고 자신할 수만은 없는 것이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어떤 사물이나 상황 또는 무엇을 보고 판단한다는 것은 어떤 관점에서 그리고 어떤 입장에서 보는가에 따라서 그것에 대한 '정확성' 및 '실체' 또는 '사실'이 달라지거나 오해 또는 왜곡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입니다.
사실 이런 상황을 우리는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로 내 입장에서 옳고 좋은 것이라고 하더라도 상대방의 입장에서는 이해되지 않고 싫은 것으로 인정되어 기피하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하고, 애초부터 서로 다른 입장으로 인하여 대화나 타협이 가능하지 않게 되는 경우를 종종 접할 수 있습니다. 흔히 어떤 사물이나 상황을 접하게 되면 '뒤집어보라'는 말을 하곤 합니다. 직접적으로 바로 보는 것 또는 눈에 보이는 것만을 믿지 말고 뒤집어 보고 거꾸로 보기를 해 보라는 것입니다. 뒤집어 보거나 거꾸로 보게 되면, 현실과는 다른 모습이나 상황이 나타날 수도 있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이 말은 현재 바로 보는 것이 사실이 아닐 수 있다는 다소 이율배반적인 사고를 인정하라는 것이기도 합니다.
흔히 'Antinomie'라고 하는 '이율배반'(二律背反)은 논리적으로 또는 사실적으로 동등한 근거로 성립하면서도 양립할 수 없는 모순된 명제들의 관계를 뜻하는 말입니다. 물론 '동등하다'는 근거와 '모순'이라는 의미가 흔히 말하는 이율배반의 근거로 작동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다른 의미에서 보면, 서로 다른 관점이나 입장에서 우리가 어떤 사물이나 인식을 바라보고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유감스럽게도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에서, 그리고 특히 우리가 관계를 맺고 있는 인간관계 속에서 이와 같은 이율배반적인 상황들은 너무나 많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반드시 모순의 관계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비록 모순과 같이 대치되거나 대립되는 상황으로 보여 지는 것이라고 해도, 그것은 결과적으로 배치되거나 대립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다름'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바로 '서로의 다름'이라는 것은 우리가 어떤 사물이나 상황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바로 보기'와 '거꾸로 보기'를 해야 한다는 것을 뜻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서로 다름'을 인정하는 것이 우리가 추구하는 '정확히 보기'를 위한 전제가 됨을 뜻하기도 합니다. 이번 주말 그 동안 업무와 인간관계 속에서 소홀히 하거나 외면했던 '거꾸로 보기'를 통해 무엇이 오해되고 왜곡되었는지 검토해 보려고 합니다. 행복한 주말되시길 기원합니다.
대전대학교 대학원장
대전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박광기 올림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