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례로 회사 생활을 하지 않는 할머니는 이름을 불릴 일이 거의 없다. 할머니의 이름은 그저 시청이나 동사무소에서 쓰이는 기호에 지나지 않는다. 가끔 택배 아저씨라도 이름으로 할머니를 찾으면 화들짝 놀라시는 눈치다. 엄마, 아빠도 사실상 마찬가지다. 일상에서 엄마, 아빠는 대부분 그냥 엄마, 아빠 혹은 누구 엄마, 아빠로 불린다. 몇 년 뒤 퇴직이라도 하시면 아예 이름을 잃어버릴 지도 모르는 일이다.
집에서 나와 산지도 10년이 넘었다. 떨어져 산 세월만큼 부모님과 멀어지고 어긋나기만 했다. 가끔 잘해드려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전화라도 걸면 이상하게 대화가 삼천포로 센다. 결국 모든 노력은 물거품이 되고 싸움 비스무리하게 끝날 때가 많다. 그러니 통화가 짧아진 지 오래됐고 부모님에 대해 아는 게 별로 없어졌다. 그분들이 퇴근 후 무엇을 하며 지내고 있는지, 나이가 들면서 그간 무엇을 얻었고 잃어 버렸는지 잘 모르겠다.
어릴 적 아빠는 늦잠을 자거나 드라마 보는 걸 타박했다. 하지만 요즘 나대신 아빠가 할머니와 드라마를 챙겨본다. 할머니는 아빠가 슬픈 장면에서 눈시울이 붉어지는 모습을 목격했다고도 한다. 하루는 아빠가 아침에 전화했다가 내가 뚱한 목소리로 전화를 받자 "자는데 깨워서 미안하다"며 황급히 전화를 끊었다. 내가 자라는 동안 부모님은 변했다. 그런데 변했다는 게 약해졌다는 의미라서 슬프다.
가끔 부모님 눈이 침침해서 글씨가 잘 안 보인다고 하시기라도 하면 가슴이 철렁한다. 더 늦기 전에 받은 걸 돌려드리고 싶다. 우리를 키우면서 부모님은 너무 많은 걸 포기했다. 내가 혼자 설 수 있도록 도와주셨던 만큼 부모님 스스로를 되찾을 수 있게 도와드리고 싶다. 나라도 알아주고 응원해준다면 조금이나마 힘이 되지 않을까. 그런 의미에서 나도 오늘부터 엄마, 아빠 대신 이름으로 불러드려야겠다.
돌이켜보니 누군가 내 이름을 다정하게 부르며 다가온다는 건 나름대로 평탄한 사회생활을 하고 있다는 증거였다. 부모님께 그런 존재감을 되찾아 주고 싶다. 물론 평소 말하는 것처럼 딱딱하게 부르면 안 된다. 귀여움을 약간 섞고 길게 늘여야 한다. 상철씨이이이이이~. 앞으로도 이런 일을 계속 찾아 누군가의 아빠가 아닌 자기 자신으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려줘야겠다. 전유진 편집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