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부 우창희 부장 |
본론으로 돌아와 유튜브는 2005년 4월에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이후 1년 만에 매월 3000만 명이 찾는 사이트로 급부상 했다. 업로드가 무료이고, 내가 올린 영상을 전 세계 사람들이 시청한다는 특징의 오픈 플랫폼이 이용자를 매료시켰다. 또 하나의 강점은 내가 본 영상과 관련성이 높은 영상을 추천해 주는 서비스다. 이용자의 패턴을 분석해 관련영상을 지속적으로 화면에 노출한다. 이로써 이용자들이 이탈하지 않고 영상시청 시간이 늘어나게 만든다. 현재는 매일 수십억 회의 영상 시청을 기록하고 있다. 영상을 제공하는 채널가입자나 크리에이터 등과의 파트너 관계도 유튜브의 전략이 한몫했다. 콘텐츠의 광고수익 55%를 분배해주기 때문이다.
최근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발간한 미디어이슈 '디지털뉴스 리포트 2019'를 살펴보면 우리나라 국민이 얼마나 유튜브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국가별 설문조사에서 '지난 1주일 동안 뉴스 관련 동영상을 시청한 적이 있다'는 질문에 한국은 40%라고 응답했다. 38개국 중 4위에 해당하는 순위로 평균보다 14%나 높게 나타났다. 특이한 점은 55세 이상 뉴스·시사정보 시청 비율이 42%였다. 이는 38개국이 연령대가 높을수록 시청 비율이 낮아지는 경향과 다른 데이터다. 정치성향이 영향을 줬다는 평이다. 한국은 진보나 보수 성향인 이용자가 중도 성향 이용자에 비해 10% 이상 유튜브를 더 많이 시청했다고 한다.
모바일 시장 점유율 또한 압도적이다. 모바일 시장조사업체의 조사에 따르면 2016년 기준 네이버, 카카오에 이어 월 총 이용시간이 3위였던 유튜브는 2018년에는 월 257억분으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정치성향뿐 아니라 대중성이 낮은 콘텐츠도 이용자를 매료시키고 있다. 뜨개질하는 동영상이 2016년 한해만 7억 5000시간 이상 시청됐다. 얼마 전 수습기자들을 교육하며 '필자의 상식으로는 이해가 되지 않는 현상'이라는 말을 했었다. 본지가 영상을 만들기 위해 기자들이 심혈을 기울이고 제작한 기획물은 고작 1000번 플레이 되기도 어려운데, 단순한 뜨개질 영상에 폭발적인 반응이라니.
이때 몇 명의 수습기자는 '충분히 이해하고 본인들도 시청했다'고 했다. 오히려 잘 때는 비오는 소리를 담아놓은 영상을 틀고 잔다는 기자도 있었다. 뉴스와 정보를 넘어 일상생활까지 유튜브가 활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런 변화 속에 학계에서도 최근 '유튜브 저널리즘'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유튜브를 저널리즘의 범주에 넣을 수 있느냐는 의견은 엇갈리고 있다. 하지만 포털사이트가 뉴스 소비의 근간이 되어 사용자들의 여론형성을 주도했던 지난 사례도 있다. 유튜브가 기존 미디어를 대신해 주요 뉴스 소비 채널로 떠오르는 건 시간문제다.
우창희 기자 jdnews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