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영미 경제사회부 차장 |
대법원이 일제 강점기 강제징용 피해자들에 대한 손해배상 판결을 내리자, 일본은 한국으로 수출되는 반도체 핵심 소재 수출규제와 화이트 리스트 국가 배제 추진 등 경제보복에 나섰다. 적반하장이 아닐 수 없다.
이에 발끈한 우리 국민도 '1919 독립운동은 못 했어도, 2019 불매운동은 한다'는 마음으로 일본산 제품과 여행에 대한 불매운동에 동참하고 있다. 한 기관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7명이 일본산 불매운동에 참여하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을 정도다.
불매운동은 식품과 의류, 생활용품, 여행에 이르기까지 분야를 가리지 않고 확산하는 추세다. 일본산 제품의 바코드 시작번호를 담은 '사구(49) 싶어도 사오(45)지 말자'란 캐치프레이즈도 등장했다. 가장 와 닿았던 것은 인터넷에 떠도는 '개싸움은 우리가 한다. 정부는 정공법으로 나가라'는 제목의 글이었다. 한 줄 한 줄이 명문이다.
『우리나라 사람들 냄비근성 아닙니다/ 모래알 아닙니다/ 제대로 빡치면 백만명 씩 촛불 들고 일어나 대통령도 끌어내리는 국민입니다/ 역사 속에 시민혁명 한번 없는 그들과는 다릅니다/ 그런 우리 국민을 제대로 화나게 했습니다/ 미우나 고우나 우리 대통령입니다/ 혼내고 욕해도 우리가 합니다/ 감히 우리 대통령을 욕보였습니다/아무리 미워도 비겁한 공격 들어오는 것 못 참습니다/ 때려도 우리가 때릴 겁니다』
잠이 잘 오지 않는 밤 어둠 속에서 스마트폰으로 읽은 글은 평범한 40대 아줌마의 애국심에 불을 지피기에도 충분했다. 그래, 그 개싸움에 기꺼이 동참하리라. 자주 찾던 일본 브랜드 매장은 발길을 끊었고, 올여름 휴가는 강원도에서 보냈다. 일본에 다녀오고도 말하지 못하는 '샤이 재팬'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는데, 별것 아니지만 그 속에서 왠지 당당했고 뿌듯했다.
올해 초등학교에 들어간 큰 녀석이 어느 날 저녁 식탁 앞에서 뜬금없이 일본 이야기를 했던 게 생각난다.
"엄마, 옛날에 일본사람들이 우리나라를 공격해서 엄마랑 아빠랑 아이들도 다 죽게 해서…." 아이는 말을 채 끝내지도 못하고 큰 눈망울에서 눈물을 글썽였다. 그러면서 또 쳐들어오면 자기가 집에 있는 저격총(장난감)을 들고 엄마 아빠를 반드시 지키겠다고 힘주어 말했다. 일본 불매운동이 시작되기 전이었는데 아마도 그날은 학교에서 역사교육이 있었는가 보다.
이전까지 아이는 몇 번 일본에 다녀온 경험이 있어 생각날 때마다 '언제 일본여행 또 가'하고 묻곤 했다. '피카추' 같은 수많은 만화 캐릭터와 인형 등 장난감이 많아서 좋아하지만, 아이는 그날 이후로 일본에 가고 싶다는 이야기를 하지 않는다. 전쟁과 침략, 식민지배가 무엇인지 정확히 모를 나이지만 제 나름의 '분노'를 느낀 것이리라.
7살 어린아이의 마음도 이럴 진데, 범국민적이고 자발적인 일본 불매운동을 '저급한 반일감정'이라며 평가절하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모든 국민이 분노할 때는 정파를 넘어 함께 분노하라는 조언을 되새기길….
원영미 경제사회부 차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