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호남과 강원권에선 이미 이 정책을 도입했거나 가시적 성과를 내고 있는 반면 충청권은 윤곽조차 잡지 못하며 허송세월만 하고 있다.
지역주민과 지자체 기업은 물론 정부까지 윈윈 할 수 있는 상생형 일자리 사업 성과를 위해 충청 민·관·정 역량결집과 충청권 소재 대기업의 참여가 요구된다.
29일 울산시에 따르면 친환경 미래형 자동차 등 신성장동력 산업을 기반으로 한 이른바 '울산형 일자리' 창출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
현대모비스는 올 9월 이화산업단지에 3300억원을 투입해 6만 2060㎡ 규모 전기차 부품 전용공장을 착공한다. 2020년 7월 공장 준공 예정인데 이에 따라 신규 일자리 800개가 마련된다.
대기업은 미래먹거리 시장개척과 중소기업과의 동반성장을 이끌면서 지자체로부터 안정적인 행재정적 지원을 받아 안정적 기업활동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역주민과 지자체는 신규투자 기업의 지역 안착을 통한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다. 여전히 수입의존도가 만만치 않은 자동차 부품 분야에서 국산화 촉진도 기대돼 일본의 수출규제 등 대외적인 경제압박 요인이 거센 정부로서도 반가운 소식이다.
울산에 앞서 경북도-구미시-LG화학은 일자리 창출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구미형 일자리' 추진에 손을 맞잡았다. 경북도와 구미시는 LG화학에 국가산업단지 6만㎡를 무상임대했다. LG화학은 2024년까지 모두 5000억원을 투자, 연간 6만t 양극재를 생산하는 데 1000여개의 일자리가 공급된다.
앞서 현대자동차와 손을 잡고 광주형 일자리를 출범시킨 광주시는 첫 결실을 눈앞에 두고 있다. 얼마전 금융권과 건설업계, 완성차 부품업계 등 32개사로부터 투자를 받아 광주형 일자리 첫 적용모델인 자동차공장 합작법인 설립을 가시화시킨 것이다.
이밖에 전북 군산시와 경남 밀양시, 강원도 횡성군 등이 지역 상생형 일자리를 출범시키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반면, 충청권에선 이와 관련한 눈에 띄는 성과가 없다. 대전시-세종시-충남도-충북도 등 충청 4개 시·도는 지역상생형 일자리 추진 여부를 묻는 중도일보 질문에 "노력은 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고 똑같은 반응을 내놓았다. 대전시는 타 시·도에 비해 지역 내 이렇다 할 대기업이 없고 충남도는 대기업과 협력키로 했는데 성과는 아직 없다고 해명했다. 세종시의 경우 대전세종연구원에서 상생형 일자리 방향성에 대한 용역을 진행 중으로 결과도축 이후 추진할 ㄱ계획이며 충북도 역시 현재 사업추진을 진행 중이라고 했을 뿐 구체적인 결과를 내놓진 못했다.
정부는 국회 산자위에 계류 중인 국가균형발전특별법을 조속히 통과시켜 지역상생형 일자리 사업을 적극 지원할 예정으로 아직 첫발 조차 떼지 못한 충청권으로선 늑장을 부리다 자칫 정부지원에서 조차 소외될 상황에 맞닥뜨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대전 한국타이어, 세종 남양유업 삼성전기 충남 KCC 현대오일뱅크 LG석유화학, 충북 SK하이닉스반도체 등 충청권 대기업과 행정당국, 여야 정치권이 힘을 합쳐 충청판 상생형 일자리사업을 추진하는 데 힘을 모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