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때에 중국 미술사를 꿰뚫고 있진 못했다. 화법 공부로 많은 그림을 보고 음미하기 때문에, 몇몇 절파화가 작품이 머리를 스쳤다. 감히 절파화가 작품과 견줄 바는 못 되지만 유사점 또한 쉽게 그려지지 않았다. 왜 자기 나라 그림과 비교할까? 괜한 자존심, 옹졸한 탓이겠지만, 심정적으로 불쾌감도 없지 않았다. 돌아와 한 번 더 돌아보게 됐다. 당시 동양의 미술 사조라는 것도 그렇다, 뚜렷하게 주의주장이 있었던 것도 아니고, 궤를 같이 했던 것도 아니다. 작가들 간에 연관성이 많았던 것도 아니다. 훗날 정리하다 보니 그렇게 분류된 것은 아닐까? 다 그런 것도 아니지만, 상대적으로 필묵이 자유분방하고 거칠거나, 산수를 인물의 배경으로 사용한 것 등이 특색이라면 특색이랄까?
한편, 이제 막 작가의 길에 들어선 젊은이들을 따뜻하게 맞이해준 강일함 화백의 품성,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작품을 지도해주는 다정다감한 자세, 해박한 지식과 안목이 퍽 인상적이었다. 귀감이 되어 지금도 종종 되뇌게 된다.
다른 장르와 달리 미술로 당대에 인기 작가가 되는 것이 쉽지 않다. 동서고금이 다르지 않다. 더구나 작품으로 돈을 번다는 것은 언감생심(焉敢生心) 기대하기 어렵다. 화가를 푸대접하는 시대인 조선 중기에 그런 화가가 있었다. 바로 천재화가, 신필이라 일컫던 김명국(金明國, 생몰미상, 도화서 화원 및 교수)이다.
지금도 공무원 직제를 보면 행정직 중심이다. 여타 직종은 진급에 한계가 있다. 조선시대는 더 심했다. 화원은 종6품이 한계품직이었다. 종6품 교수를 지내고 한계품직을 넘어 정6품 사과를 지내기도 했다. 천시 받아 생애나 후손에 대해 전하는 내용이 많지 않아 안타깝다. 남긴 작품도 많지 않다. 일본에 전하는 13점을 포함 30점이 채 안 된다. 의궤에 적은 이름까지도 명국(明國), 명국(命國), 명국(鳴國) 등 세 가지를 쓰고 있다. 안산김씨 족보까지 뒤진 자료도 보았으나 생몰 등 의견이 분분하다. 스스로 취옹(醉翁)이라 할 정도로 워낙 술을 좋아 했다. 한 번에 몇 말씩 마실 정도 대주가로 술에 취하지 않고는 붓을 잡지 않았다 전한다. 하여 술에 얽힌 이야기, 기행과 호방한 성품이 담긴 짧은 일화만 여기저기 전 할 뿐이다.
술에 취하면 걸작이 탄생했으며, 술독을 가지고 가면 그림을 청할 수 있다 할 정도였다 한다. 도화서 화원은 직업 화가이다. 나라의 크고 작은 일을 그림으로 남기는 것이 주 임무다. 뿐만 아니라 건물의 도색 등 나라의 제반 화사 업무를 총괄 하였다. 양식화된 그림을 그리는 일로, 자신의 주체할 수 없는 창조적 열정을 술로 풀지 않으면 안 되었을 것이다. 당시 사람들은 그를 주광(酒狂)이라 불렀다 한다.
절파 화풍과 안견풍의 영향을 받았다고 전한다. 선종화(禪宗畵)에도 능했다. 남아 있는 작품을 통하여 쉽게 알 수 있다. 선종화는 일본에서 선화(禪畵)라고도 한다. 선종의 전법은 직관적으로 얻고 전하는 것에 있다. 정신적 체험의 경지를 직관적 시각의 세계로 인도하는 것이 선종화이다. 선승의 수행법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여타 불교회화와 달리 수묵위주, 형식적인 대부분을 생략하는 감필減筆로 그린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노엽달마도, 지본수묵, 58×83 cm |
임진왜란 이후, 일본 막부의 관계회복을 위한 끈질긴 요청으로 파견되기 시작한 공식 외교 사절단이 통신사(通信使)이다. 일본에서는 조선통신사라 불렀다. 우호관계 유지, 선진문화의 전달창구로 사용 하였다. 일본에서도 통신사의 모습을 많이 그려 전하지만, 우리도 기록으로 남기기 위해 일행에 화공을 대동시켰다. 예전에도 부정이 다르지 않아 통신사 일행이 밀거래창구가 되기도 하였다. 그런 연유로 동일인을 2번 보내지 않았다 한다. 1636년과 1643년, 유일하게 2번 다년 온 사람이 김명국이다. 김명국 그림이 일본인에게 워낙 인기가 높아 2번째는 일본 요청으로 이루어진 것이라 한다. 수많은 사람이 돈을 싸들고 대기했던 모양이다. 일화에 의하면 지쳐 쓰러질 정도로 많은 그림을 그려 주었다 한다. 지금의 한류열풍 이상이었나 보다.
항상 그런 생각을 한다. 창조력과 상상력을 먹고 사는 작가가 그렇지 않은 사람의 통제를 받는 것은 우스꽝스런 일이다. 잘나가는 경영인의 중요 요건 중 하나가 창의력이다. 창의력 면에서 조족지혈인 정치인들이 기업을 좌우하는 것은 코미디다.
양동길 / 시인, 수필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