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준원 박사 |
서유럽에서 반세기가 넘도록 전쟁이 없는 건 유럽사에서 유례없는 일이다. 견고한 국제체제와 국가 간의 대화와 화해의 외교가 뿌리내린 덕에 가능한 것이다.
2차대전 종전 직후까지 프랑스와 독일 사이엔 마치 우리와 일본처럼 숙명적 대결 역사와 함께 불편한 감정이 켜켜이 쌓여있었다. 독일과 프랑스처럼 유럽에서 오래된 숙적관계와 동북아에서 펼쳐지는 한일관계는 유사한 점이 많다.
용서와 화해 없이 진정한 평화를 기대할 수 없다. 패전국인 독일은 분할 점령당했고, 범세계적인 이념적 대결구도에 휘말렸다. 그 와중에도 드골과 손잡고 아데나워는 화해와 용서를, 그리고 주변국들과 손잡고 끊임없이 신뢰 증진에 노력했다. 독일은 진정성을 보여줬기에 상대의 맘을 휘어잡을 수 있었다. 패전국 일본과 무척 비교되는 대목이다.
1953년 아데나워가 미국 방문 길에 무명용사 묘지 앞에 헌화했을 때, 독일(서독) 국기가 성조기와 함께 게양됐다. 당시 서독은 주권국가로 인정받지 못했다. 국기게양을 보고 울컥한 아데나워는 보좌진들과 함께 눈물을 쏟았다고 한다. 패전국으로, 게다가 주권국가도 아닌 피점령국 입장인지라 한없이 서러웠을 것이다. 반면에 일본은 어땠을까. 곱씹어 볼 일이다.
1955년 아데나워는 소련으로 건너가 스탈린과 담판 지어 독일군 포로 병사들을 데리고 왔다. 1만여 명의 히틀러 군대의 병사를 데려왔지만, 반대급부로 독일분단의 고착화를 야기했다는 일각의 비난도 있었다. 참회를 근간으로 자유 가치를 최고 덕목으로 여겼던 아데나워의 외교력은 냉전체제 하에서도 출중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도자의 통치철학은 국내적 관점은 물론 특히 대외정책의 방향과 가치관이 얼마나 견실하냐에 따라 평가가 엇갈린다. 외교는 국가의 두뇌이고, 지도자의 통치철학과 외교력은 나라의 운명을 좌우한다. 국가의 두뇌도 이성과 감성으로 반응하기에 외교적 마찰 해결에 신중함과 진정성이 요구된다.
글로벌 시대의 외교는 국가와 정부의 역할에 한계가 있다. 거미줄처럼 얽히고설킨 탈 정부적 탈 국가적 네트워크는 목하 복잡하게 진행 중이다. 국가의 공식채널보다 오히려 민간차원의, 그리고 기업들의 교류망이 더 신뢰받는 시대다. 금융과 정보, 기술력은 이미 국가 간의 경계선을 무색하게 만들고 있다.
연일 한일관계가 불편하고 시끄럽다. 이런 원인과 동기가 무엇인지도 불투명하고, 자존심인지 자격지심인지 사태 발생 배경도 부정확하다. 정부가 미국에 외교적 중재를 요구한 모양이지만, 사태가 이 지경에 이르기까지 전혀 인지하지 못했던 관계자들이 참 한심하다. 정부의 외교적 계산법이 미래를 내다보지 못한 탓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독일과 달리 일본이 보여줘 왔던 과거사에 대한 화해와 참회의 진정성 결여도 상존한다.
작금의 상황전개를 보면 일본은 오래전부터 계획적으로 구상해온 것 같다. 이 대목에선 청와대는 대일인식과 대처방식을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반일감정을 고무시킨다고 한일관계가 순탄하게 풀리지 않는다. 감정 다툼으로 양국 간의 신뢰는 순식간에 무너질 수 있지만, 그걸 복구하기엔 오랜 시간이 요구된다. 패전국을 함께 경험했던 일본이 독일로부터 사태해결의 한 수를 배우길 권고한다. 아데나워와 드골이 숙적관계를 잠재웠듯이, 한일관계를 반듯하게 정립하는 양국의 외교력이 발휘되길 기대한다.
서준원 정치학 박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