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장애 예술인에게는 이 마저도 어려운 일이다. 시각장애인에게만 국한된 이야기가 아니다. 몸이 불편한 예술인도 같은 고통을 겪고 있다. 휠체어를 타고 진입할 수 있는 화방은 매우 드물다. 목발을 짚고 다니기에도 한계가 있다. 인터넷을 통해 구매하기는 하지만 원하는 색이 아닐 가능성을 늘 염두해야 한다. 막연하게나마 '장애 예술인들은 작품 활동이 어려울 수 있겠다'고 생각했지만, 재료 수급부터 난항일 줄은 몰랐다.
이처럼 장애인들의 예술 활동은 첫 단계부터 쉽지 않다. 원하는 재료를 갖춰 작품을 완성시키고 이 작품들을 전시할 공간들을 찾는 것 역시 어렵다. 대전지역 한 예술가는 "작품 전시에 적합한 갤러리를 찾기 위해서는 발품을 팔아야 하는데 대다수의 갤러리는 휠체어 진입이 어렵게 돼있다"고 말했다.
미술 분야 장애 예술인만 어려운 것은 아니었다. 방귀희 한국장애예술인협회 대표는 "장애인이라는 이유로 작품 출판을 거절당하거나, 전시장 대관을 거절당하기도 한다. 연극인들은 무대에 설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기억을 더듬어보니 정말 그랬다. 영화, 드라마 속 장애인 캐릭터는 대부분 비장애인 배우들이 맡아 연기를 했다.
예술인이 아닌 장애인들에게도 문화를 접하는 것은 먼 나라 이야기다.
장애 종류는 신체적 장애 12가지와 정신적 장애 3가지 등 총 15가지가 있다. 하지만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것은 시각, 청각, 지체, 정신 장애에서 그친다. 대다수의 문화기관에 설치된 장애인 배려시설은 시각, 청각, 지체 장애인 위주로 구성돼 있다. 하지만 입구에 경사로가 설치되지 않거나 청각 해설 도슨트를 갖추지 않는 등 이 마저도 제대로 되지 않은 곳들도 많다. 영화관의 배리어 프리 상영관(장애인들을 위해 자막, 해설 등을 제공하는 상영관)은 여전히 도입되지 않은 곳이 더 많고, 음악당으로 향하는 길의 점자블록은 여전히 은색 빛을 띠고 있다.
매년 4월만 되면 장애인에 관한 기사들이 쏟아져 나온다. 하지만 관심은 그때 뿐 장애인의 날이 지나면 언제 그랬냐는 듯 관심은 사그라든다. 이들의 불편은 예술인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부족한 장애인 배려시설은 문화를 향유하려는 장애인들에게도 걸림돌이 된다. 문화는 비장애인들의 전유물이 아니다. 출입구에 경사로를 놓고, 도로에 노란 점자블록을 설치한다고 해서 비장애인들이 불편함을 겪지는 않는다. 사회 구성원 모두가 함께 문화를 즐길 수 있도록 꾸준한 관심이 필요하다.
김유진 교육문화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