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충남도청사는 원형이 그대로 보존돼 있는 완전무결한 공간이다. 이곳은 대전 근현대역사를 담을 공간이 돼야 한다."
11일 대전시의회 구본환(더불어민주당 유성구4) 의원이 주관한 '대전근현대역사관 건립방안 정책토론회'에서 이와 같은 주장이 쏟아지면서 중장기적으로 추진사업단을 발족하고, 옛 충남도청사에 대전역사를 담을 활용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이성우 충남대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충남은 올해 3·1운동 100주년 맞아 기념관 건립과 관련해 부지를 선정했다. 건축비만 350억이다. 반면 대전은 할까, 말까를 이제야 토론을 하고 있다. 많이 늦었지만 이제라도 간담회가 열려 기쁘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대전근현대박물관은 아직 건립되지 않았지만, 대전에는 전시할 것, 이른바 콘텐츠가 없어서가 아니라 관심이 없기 때문"이라고 꼬집었다.
이승윤 서대문형무소역사관 학예연구사는 "역사는 기억과 시간의 산물이다. 역사는 눈에 보이지도 손에 잡히지도 않는다. 역사를 현재의 기억으로 재생하고자 할 때는 공간이라는 장치가 필요하다"며 "많은 지방자치단체에서 기념관이나 박물관, 추모비 같은 상징적 기념물을 조성하면서 현재에 역사를 되살리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박물관 건립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이 학예연구사는 "대구, 목포 군산, 강경 지역에서는 근대역사거리를 조성해 지역 특성을 알리고 관광을 통해 구도심 형성하고 경제성장을 견인하고 있다"며 "반면 대전의 근대문화예술특구를 지정하고 5개년에 걸쳐서 원도심문화올레길 조성, 탐방로 조성 가열차게 추진하고는 있지만, 사실상 근대도시라는 대중에게 각인된 대전만의 장소가 확실하지 않다는 점이 아쉽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대전근현대역사관 건립의 최적화된 부지로 '옛 충남도청사'를 꼽았다.
이성우 교수는 "박물관을 짓기 위해서는 부지를 매입하고, 건물을 짓고, 전시물을 갖춰야 하는데, 대전은 부지 매입과 건물 신축은 확보돼 있어 리모델링과 전시콘텐츠만 갖추면 된다. 이를 볼 때 충남도청사는 입지적, 상징적, 접근성에서 박물관 위치로 최적의 조건을 갖췄다"고 말했다.
이승윤 학예연구사는 "1932년 충남도청이 대전에 개청 된 것은 단순히 행정중심지 설치 그 이상을 넘어 지역주민들과의 갈등이 내포돼 있는 장소다. 또 원형이 남아 있는 완전무결한 공간"으로 설명했다.
토론자로 참여한 최창희 단재 신채호선생기념사업회 이사는 "대전에도 인동 3·1운동 만세운동을 비롯해 100주년의 기념일이 있다. 이런 기록을 역사에 남기기 위해서는 역사관 건립이 중요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안여종 대전문화유산 울림 대표는 "대전근현대박물관이 건립되면 관광객들이 성심당만 찾는 게 아니라 대전의 원도심의 역사를 탐방하게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류용환 대전시립박물관장은 "시립박물관과 선사박물관, 근현대사전시관이 어떻게 관계를 설정하고 각각의 경쟁력을 갖춰나갈지, 근현대사박물관에 대한 상을 잡아가야 한다. 큰 줄기가 잡힌 유기적으로 통합적인 박물관 정책이 필요한 만큼 이에 대한 합의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과제를 던졌다.
구본환 의원은 "오늘 우리는 자존심과 자부심을 이야기하기 위해 이 자리에 모였다. 국토의 중심, 교통의 요충지, 과학의 도시라 부르지만, 대전을 말할 때 빠뜨리지 말아야 할 것이 바로 근현대역사와 함께 해왔다"라며 "오늘 정책토론회가 단발성이 아닌 지속성 있게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해미 기자·신가람 수습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