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수 국방과학연구소 수석연구원 |
국방과학연구소는 우리 군과 함께 수명이 다한 폐탄약을 친환경적으로 처리하고 폐탄약으로부터 회수되는 에너지물질을 재활용하는 탄약 비군사화기술 개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탄약의 비군사화는 탄약에 충전된 폭발물질(고폭화약, 추진제 등), 반응성물질 및 기폭장치 등의 취급 안전성 확보와 환경오염 방지라는 두 가지 조건을 함께 만족시켜야하는 처리공정 상의 어려움이 있다.
친환경 폐탄약 비군사화기술을 사용하면 폐탄약은 완전히 새로운 물질로 전환시킬 수 있게 된다. 그야말로 하나도 버릴게 없게 되는 것이다. 탄약을 구성하는 주요 부품들은 화약, 추진제, 화공품, 그리고 탄체다. 탄약 내에 들어있는 화약들 중 대표적인 화약인 TNT는 80∼90℃ 이상으로 가열하면 고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변한다. 그리고 그 이하의 온도로 냉각하면 다시 고체 상태로 변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면 탄약 내에 들어있는 화약은 용출시설에서 스팀을 사용해 모두 회수할 수 있다. 이렇게 회수한 화약이나 추진제는 군용 또는 산업용 화약으로 재활용하거나 회수된 화약을 유기합성방법을 이용해 고부가의 의약품 중간체, 초고속 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등으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탄체는 섬광소각로를 이용, 잔류 화약성분을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고철로 재사용할 수 있다.
최루탄, 신호탄, 연막탄, 화공품 등 소각시설로 처리가 불가능한 폐탄약들은 고온플라즈마 장치를 이용해 완전분해, 소각함으로써 환경오염물질인 다이옥신 배출을 원천 차단, 처리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고급 건축자재인 슬래그 생산도 가능하다.
그동안의 노력으로 재래식 탄약의 친환경적 비군사화 기술이 다양하게 확보됐으나, 앞으로 해결해야 할 추가 과제도 남아있다. 현재까지 확보한 탄약처리시설에서 처리가 어려운 탄약의 경우 탄의 특성에 적절한 새로운 처리공정의 개발 및 전용처리시설의 확보가 요구되므로 군과 산·학·연이 협력해 관련 기술의 개발과 시설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이미 개발된 에너지물질 회수기술, 에너지물질 변환기술, 폐기공정기술 등은 상용화 규모로 처리가 가능하도록 시설의 확보 및 운용이 뒷받침되어야 하므로 이에 대한 관련기관 및 산업체 또는 군의 추가 투자가 필요하다.
군이 보유하고 있는 폐탄약을 친환경적으로, 대량으로, 그리고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탄약 비군사화 사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책개발, 예산확보, 기술개발, 시설운용 등 모든 면에서 정부, 군, 연구소, 그리고 산업체가 유기적으로 서로 협력해야 할 것이며, 성공적 추진을 위해 꾸준한 정책적인 관심과 제도적인 노력이 뒷받침되어야만 한다.
김현수 국방과학연구소 수석연구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