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세화 미디어부 기자 |
결혼생활 16년째다. 부모의 안부를 여쭙는 전화는 자식이 먼저 하는 게 보통일텐데, 내 경우는 다르다. 시부모님께 내가 먼저 전화하는 일은 거의 없다. 가끔 서운한 표시를 내시기도 하지만 그때마다 '무소식이 희소식'이라며 얼버무린다. 무심한 성격 탓에 알면서도 실천이 어렵다. 이러한 며느리의 무심함이 이젠 배냇병이려니 이해하고 넘어가 주시는 시부모님이 감사할 따름이다. 시어머니에게는 자식의 안부를 묻는 당신만의 화법이 있다. "애미야, 밥은 먹었냐?", "애비 아침밥은 먹고 다닌다니?"… 통화 말미에도 "얼른 밥 먹어라"라며 밥 얘기로 마무리하신다.
철없던 신혼 무렵, 전화 할 때마다 밥 타령으로 일관하는 시어머니가 짜증나고 이상하다고 생각했었다. 보릿고개 넘기던 시절도 아닌데 입만 열면 밥 얘기를 하시는 시어머니의 옛날 사고방식이 촌스럽게 느껴졌고, 시집살이를 시킨다고만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더 전화를 안 했던 이유도 이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어머님은 직접 깨 농사를 지어 참기름과 들기름을 떨어지지 않게 주셨지만 받아들고 와서는 찌든 냄새가 날 때까지 내버려 둬 결국 음식물쓰레기통으로 들어간 게 10병도 더 된다. 지금도 시어머니는 다진마늘을 네모난 모양으로 얼려 똑똑 떼먹을 수 있게 만들어주시고, 대파, 양파, 감자, 고구마, 참깨 등 식재료 대부분을 공급해주신다.
최근 가정간편식(HMR) 시장이 무섭게 커지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소셜빅데이터 분석 결과, 지난해 상반기 한 달 평균 8521건에서 올해 1만2590건으로 47.8% 급증했다. 또한, 국내 가정간편식 시장이 2011년 8000억원 규모에서 지난해 3조5000억원으로 4배 이상 성장했으며, 2021년에는 7조5000억원 규모로 몸집을 불릴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전망한다. 해 먹자니 귀찮고 시간도 많이 걸리는 집밥에 비해 가정간편식은 손쉽다. 말 그대로 간편하게 한 끼를 떼울 수 있다는 게 큰 장점이다. 하지만 간편식 같은 패스트푸드는 '제2의 뇌'라 불리는 장을 위협하고 있다. 식습관이 서구화 된 젊은층에서 염증성장질환이나 궤양성대장염 등이 빠르게 퍼지고 있다. 가정간편식은 허기진 배만 채울 뿐 영양가는 없는 속 빈 강정인 셈이다.
지난 주말 홍성 시댁에 다녀왔다. 어머님은 이번에도 직접 농사지은 식재료를 바리바리 싸주셨다. 과거 '들기름 유기사건'을 어머님은 아직 모르신다. 몰라야 한다. 깊이 반성하고 있다. 올바른 먹거리 찾기가 힘들어지는 시대에 자식에 대한 사랑과 정성으로 꽉 찬 '시어머니표 농산물'은 음식이 아니라 바로 '보약'이다. 몸은 정직하다. 먹는대로 만들어진다. 우리는 건강이 가장 중요하다는 진리를 알면서도 늘 바쁘고 귀찮다는 이유로 간과하며 살아간다. '먹고 사는 문제'에 대해 또 다른 의미로의 고민을 해야 할 때다. 스스로 질문을 던져보자. "밥은 먹고 다니니?"
한세화 기자 kcjhsh9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