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성광 이사장 |
창의성의 원천은 행복이다? 그럴 수도 있겠다는 생각은 들었지만, 마음 깊이 와 닿지 않았다. 그런데 이어지는 얘기가 핀란드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받으면 숲으로 들어가 명상을 하며 치유를 받는다는 것이다. 핀란드는 국토의 72%가 숲으로 덮여있고, 호수가 18만8,000개나 있다. 핀란드 사람들은 이렇게 좋은 환경에서 자연과 어울려 행복하게 살아가면서 자연스레 창의력이 생겨난다는 것이다.
핀란드는 수백 년에 걸친 외세의 침략으로 고통을 받았지만, 이를 극복하고 지금은 1인당 GDP가 4만5,703달러에 달하는 선진국이 됐다. 1918년에 독립한 핀란드는 1960년대까지도 인구 절반에 가까운 사람들이 일차 산업에 종사하는 가난한 나라였다. 그러다가 1980년대에 이르러 노키아 등 세계적인 기업을 배출하면서 첨단 산업국으로 변화에 성공했다.
그러나 핀란드를 먹여 살리던 노키아가 2008년부터 몰락하면서 국가 전체가 침체의 늪에 빠졌는데, 취업을 걱정하던 핀란드 청년들이 찾은 대안이 창업이었다. 역설적으로 위기 속에서 많은 스타트업이 생겨나기 시작했고, 핀란드는 인구수 대비 스타트업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나라로 변모했다.
그런데, 이처럼 위기에 빠졌다고 모든 나라에서 스타트업 붐이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핀란드와 한국은 모두 학생들의 높은 학업 성취도와 대학진학률로 유명하나, 핀란드에서는 창업에 도전하는 젊은이들이 많았지만 우리는 그렇지 못하다. 핀란드 교육은 자연 속에서 놀이를 통해 즐겁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해 창의성과 역경을 이겨낼 뒷심을 길러준다. 반면에 우리 학생들은 어릴 때부터 획일적인 주입식 교육에 길들고, 엄청난 학습량에 지쳐 창의력을 발휘할 여유를 잃게 된다.
이 같은 현실은 국제교육성취도 평가에서 우리나라 아이들의 수학·과학 성적은 세계 최상위이지만, 흥미도는 최하위를 기록하는 결과로 나타난다. 우리나라 부모들은 자식들에게 행복을 위해서는 좋은 대학에 가야 하고, 그 과정이 힘들어도 견뎌야 한다고 말한다.
자식이 잘되기를 간절히 바라며 사교육비를 대느라 허리가 휘지만 정작 자식들은 행복을 모르고 산다.
그러나 핀란드 사람들은 행복 자체를 추구하기 때문에 자식들이 지금 행복하도록 세세히 보살펴준다. 삶을 대하는 이런 태도가 행복한 나라 순위에서 핀란드는 세계 1위, 한국은 세계 54위라는 커다란 차이를 가져온다.
에스푸시는 가장 행복한 나라 핀란드에서도 가장 행복한 도시라고 자랑한다. 우리는 세계적인 에스푸혁신단지를 벤치마킹하기 위해 세계 최고의 스타트업 대회 슬러시와 알토대의 스타트업사우나 등 외형적인 것에만 관심을 두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정작 눈여겨볼 것은 알토대를 중심으로 한 스타트업 생태계다.
알토대는 노키아 몰락의 위기를 혁신으로 극복하고자 헬싱키공대, 예술디자인대, 경제대를 통합해 2010년에 설립했다. 알토대는 기술과 예술, 경제의 융합교육과 산업현장에서 이뤄지는 수업으로 창의적 혁신 인재 양성과 창업이 활발한 생태계를 구축해 혁신을 이끌고 있다.
'귤화위지'라고 강남에 있던 귤을 강북에 옮겨다 심으면 탱자가 된다는 말이 있다. 다소 오래 걸리겠지만, 외형보다는 문화와 정서, 삶의 여유로움을 배워오는 것이 근원적인 해결책이 될 것이다.
헬싱키 시내의 작은 공원에서 까르르 웃음소리에 이끌려 다가간 곳에서 유모차와 벤치에 옹기종기 앉아 인형극을 관람하는 아기들과 엄마들을 보았다. 고요한 아침을 깨우는 아기들의 해맑은 웃음이 왠지 핀란드의 미래를 보는 것 같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