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덕기 내포본부장 |
충남도청의 내포 이전 후 그 쓰임새가 커지고 있다. 도청과 도교육청,도경찰청,농협충남본부 등 도유관기관의 이전으로 생긴 내포신도시를 비롯해 내포혁신도시, 내포산업단지, 내포문화권 개발 등 내포는 이제 지역을 대표하는 이름이 됐다.
충남도청 이전지인 내포신도시는 충남 홍성군 홍북읍 신경리와 예산군 삽교읍 목리를 중심으로 조성한 곳이다. 서울 남부터미널과 동서울터미널에선 내포행 버스가 오가면서 서울사람들도 내포 이름을 쉽게 접하게 됐다.
그럼에도 아직까지 내포 지명을 낯설어 하는 이들이 많다. 특히 외지인들은 아직도 내포를 잘 모른다. 경상도나 전라도에 있는 지명아니냐고 답하는 사람도 있다.
충청인들도 내포를 자주 듣기는 하지만 그 권역을 정확히 아는 이는 드물다. 대략 충남의 홍성과 예산 쪽 아니냐는 식이다.
사실 행정권역으로 어디서 어디까지가 내포냐고 명확히 묻고 들어가면 답을 내리기가 쉽지 않다. 행정권역을 떠나 지리적, 문화적 특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조선후기 실학자인 이중환은 그의 저서 '택리지'에서 "충청도에선 내포가 가장 살기 좋은 곳이다"라고 써 놨다. 그러면서 "가야산의 앞뒤에 있는 열고을을 일컬어 내포라고 한다"고 설명했다. 예산, 홍성, 서산, 당진 등이 해당한다. 택리지에는 "내포의 땅은 기름지고 평평하면서 넓다. 또한 소금과 물고기가 많아서 대를 이어 사는 사대부들이 많다. 그렇지만 바다가 가까운 곳은 학질과 염병이 많다. 산천이 비록 평평하고 넓으나 수려한 맛은 다른 곳에 비해 적다. 즉 야트막한 구릉과 원습이 아름답고 곱지만 기암괴석 등이 없어 자연의 기묘한 경치는 볼 수 없다"고 서술해 놓고 있다.
지세가 산모퉁이에서 멀리 떨어져 있고 큰 길목이 아니므로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두차례의 난리때도 내포에는 적군이 들어오지 않았다고 한다. 땅이 넓고 기름져 예당평야가 펼쳐져 있다. 북쪽으로는 아산만을 사이에 두고 경기도와 마주하며 동쪽은 아산, 서쪽은 예산과 당진 서산, 남쪽은 오서산이며 차령산맥 서쪽의 공간이 내포의 땅으로 해석되고 있다.
내포는 글자 대로 해석하면 포구의 안쪽 땅을 지칭한다. 분명한 것은 가야산 중심으로 인근의 지리적 공간이라는 점이다.
이 때문에 내포문화권의 범위는 뚜렷하게 단정하기가 어렵다. 조선시대 홍주목 관할로 넓게 보는 시각도 있다. 이 경우 홍성,예산,당진,서산,태안,보령,서천,아산,청양,천안까지 범위가 확대된다. 문화특질을 고려하고 문화적 동질성에 기초한 내포문화권 설정이 필요한 이유다.
도청이전으로 내포가 조명 받자 이곳에 어려있는 내포문화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내포가 갖고 있는 문화특징을 발굴해 국가와 지역발전에 접목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내포문화의 상징은 많다. 가야산, 삽교천, 홍주목, 내포의병, 불교와 천주교, 동학 등 내포종교,내포 보부상, 백제부흥운동, 주류성, 실학, 예향, 중고제 판소리, 내포 당제, 서민적, 대중적, 개방성, 융합성, 자립성, 진취성 등의 키워드다.
경북 안동이 양반문화의 상징이 됐듯, 내포문화의 긍정적 상징성을 발굴해 국민들에게 알리고 지역민에겐 자긍심을 심어줄 필요가 있다. 보부상 등 민초들이 중심이 된 서민문화의 상징이자 역사의 고비 때마다 시대정신을 발휘한 내포의 기운을 다시금 새겨본다.
김덕기 내포본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