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인데, 진짜 선생님은 아니래."
아마도 선생님에게는 임시 담임이라는 기회가 임용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발판이었을 거다. 출산 휴가를 마친 담임이 돌아왔을 때 선생님은 예체능과 관련된 교과를 맡아서 매 시간 수업에 들어갔다. 우리가 졸업한 이후에는 정식 담임이 되었다는 이야기, 발령을 받아 시내 학교로 갔다는 이야기가 들렸던 것 같다.
정부와 학비연대의 교섭이 결국 불발되면서 3일부터 약 10만 명에 달하는 교육공무직과 비정규직이 연대가 파업에 돌입했다. 파업 소식을 접하면서 문득문득 선생님이 생각났다.
지금 생각해보면 정상적이지 않은 일이 많았다. 선생님은 교무실에 계시지 않고 수업 준비실에서 빈 시간을 보냈다. 몇몇 아이들은 다정하고 착한 선생님이 교실과 가까운 곳에 있어 좋다 했고, 나름 세상을 볼 줄 알았던 몇몇은 교무실 선생님과는 무언가 다르다는 점을 눈치 챘던 것 같다.
반 아이들은 의도성은 없었겠지만 "선생님은 왜 여기 계세요?"라는 질문을 종종 던졌다. 자신이 처한 현실을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춰서 설명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단어들을 떠올렸을지. 내 사회 초년시절을 생각하니 당시 선생님의 마음을 충분히 이해가 된다.
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육공무직을 비롯해 비정규직은 약 100여 개의 직종이 있다. 이들에게 가장 힘든 건 적은 임금보다도 '시선'이라고 했다. 같은 곳에서 근무하지만 너와 나는 출생이 다르다는 걸 언제든지 주입 시켜주는 차별의 시선이 분명하게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번 파업도 결국 이런 연장선이라는 이유다.
학교에 있어야 할 구성원들이 거리로 나오자 많은 사람들은 "학생을 볼모로 자신들의 이득을 취하지 말라"고 경고성의 목소리를 높였다.
반대로 인천의 한 초등학교에서는 급식 노동자들의 파업을 지지하며 "각자의 노동에 대한 정당한 대우를 받을 수 있게, 차별받는 일 없는 세상을 소망한다"는 가정통신문을 보내 화제가 됐었다.
이 두 가지의 차이점은 결국 '시선'이다. 우리와 마주하며 살아가는 수많은 비정규직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에 대한 마음 가짐일 수도 있겠다.
학비연대는 아마도 파업을 통해 원하는 모든 것을 쟁취할 수는 없을지도 모른다. 정부 또한 협상 조건 수용에 대한 불가 입장만이 능사는 아닐게다. 어쨌든 파업은 3일간 이어진다. 이 시간이 부디 서로를 이해하는 시간이 되었으면.
이해미 교육문화부 차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